‘돈 되는 쓰레기’…K-건설, 폐배터리 사업 강화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3.27 14:55

[미래먹거리 찾는 건설사들]4. 건설수주 부진 메울 폐배터리 사업

폐배터리시장, 연평균 17% 성장 예상...건설사 미래먹거리로 각광

전문가 “국내 폐배터리시장 성장 가능성 크다"

.

▲SK에코플랜트 자회사 SK 테스 공장에서 작업자들이 폐배터리 흑연을 긁어내고 있다. SK에코플랜트

“돈 되는 쓰레기를 찾아라". 건설사들 사이에 환경사업이 미래먹거리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전기자동차 등에서 대량 발생하는 폐배터리 재생 등 폐기물 재활용 사업에 진출하는 건설사들이 잇따르고 있다.




◇ 건설수주 부진,

2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설사 건설수주액은 총 176조1387억원으로 전년 대비 18.5% 감소했다. 특히 건축 분야 감소폭은 30.3%에 달했다. 이는 1977년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후 IMF 외환위기였던 1998년(-42.6%)을 제외하고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감소세가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지난 1월 국내 건설업 신규 수주는 8조5639억원으로 전년 동월과 비교해 54% 감소했다. 건설사들은 건축부문 수주 부진 만회를 위해 신사업에 눈을 돌리는 추세이며, 이 중 폐베터리 사업은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건설사들이 폐배터리시장에 주목하는 데에는 급격하게 커진 전기차시장이 주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장 확대로 양극재 전구체 소재 수요 급증과 폐배터리 양이 크게 늘어나며 전기차시장의 영향과 더불어 시장 규모도 커지고 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108억달러였던 세계 폐배터리시장 규모는 2030년 424억달러, 2040년에는 2089억달러로 추산되며 연평균 17% 가량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폐기물·폐베터리 사업으로 눈 돌리는 건설사들

이같은 폐배터리시장에 가장 적극적인 건설사는 SK에코플랜트다. SK에코플랜트는 2022년 미국의 폐배터리 재활용 전문기업 어센드엘리먼츠와 5000만달러 규모의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 또 전기전자 폐기물 전문기업인 테스를 인수했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테스는 전기·전자폐기물 분야 선도기업으로 전 세계 23개국 46개 시설을 운영하며 업계에서 가장 많은 국가 거점을 보유하고 있다.




이어 테스를 통해 일본 시장 공략에 나선 상태다. 일본 대표 리스 기업인 스미토모 미쓰이 파이낸스 앤 리싱(SMFL) 및 렌탈 전문 자회사 SMFLR과 함께 일본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앞서 SK에코플랜트와 테스는 지난해 11월 배터리 양극재 기업 에코프로와 헝가리 배터리 재활용 사업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이들은 유럽 시장 공략을 위해 2025년 준공을 목표로 헝가리에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 설립을 추진할 계획이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 26일 환경부와 '폐배터리 재생원료 인증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협약식을 가지며 국내 폐배터리 인증체계 구축에도 나섰다.


환경부 등과 진행하는 이번 사업은 글로벌 폐배터리 재활용 의무화 흐름에 대비하고 산업 활성화를 촉진하고자 마련됐으며, 전기차 배터리 재생원료 사용 인증체계를 구축해 향후 국내 배터리 제조사 및 재활용사의 수출입 지원을 위해 마련됐다.


SK에코플랜트 관계자는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기술력과 다수의 현지거점 확보를 위해 기술 상용화를 추진하고 글로벌 거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견 건설기업인 아이에스동서는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전기차 해체부터 회수소재 제품화까지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풀 밸류체인을 완성하며 시장 점유율 향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배터리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인해 업계 실적부진이 있었음에도 아이에스동서는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부문 매출액 858억원, 영업이익은 141억원의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아이에스동서는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이 향후 5년 내 성장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해 선제적 자금 투입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국내 폐배터리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이지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자원 순환 관련한 수익 창출 기회는 2050년 1조달러 수준으로 전망된다"며 “현재 건설업계에서는 에너지 재생 및 환경 사업이 각광받고 있고, 그 일환으로 국내 폐배터리시장의 성장 가능성 또한 크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다니엘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