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中企 인력난 해소 위해 유학생 활용 지원”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4.11 16:51

중기부, ‘중소기업-유학생 연계방안 자문간담회’ 개최
오영주 장관 “中企-유학생 미스매칭 해결방안 마련”

중소벤처기업부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가운데)이 11일 서울 중구에서 열린 '중소기업-유학생 연계방안 자문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김철훈 기자

중소벤처기업부가 숙련인력 부족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위해 국내 외국인 유학생을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11일 서울 중구에서 조영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최기주 아주대 총장, 김태상 경남정보대 총장 등 대학 관계자들 및 중소기업 대표들과 함께 '중소기업-유학생 연계방안 자문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간담회는 국내 외국인 유학생이 중소기업으로 취업하도록 연계하는 과정에서 대학과 중소기업이 겪는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먼저 발표에 나선 한창용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정책컨설팅센터장은 “중소기업의 내국인 구인 노력에도 고숙련 인력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전문가 종사자 분야의 일자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한 센터장은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 유학생 규모가 꾸준히 증가하고 중소기업과 유학생 상호간 채용·취업 수요가 있음에도 구인·구직 정보의 미스매칭으로 취업에 애로를 겪는다"고 덧붙였다.




한 센터장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는 18만명의 외국인 유학생이 대학과 대학원에서 공부하고 있고 국내 외국인 유학생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전체 국내 유학생 중 15~17%만이 유학 후 취업까지 성공해 한국에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구직자의 전공과 유학생의 전공간 미스매칭이 한 몫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중소기업은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 IT 분야 전문인력을 필요로 하는 반면 국내 대학·대학원 유학생의 40~50%는 사회계열 전공이고 공학계열 전공 유학생은 11~12%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유학생의 한국어 능력 부족도 국내 취업의 애로사항 중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이에 중기부는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직무역량 강화방안을 비롯해 중소기업과 유학생간 매칭을 위한 체계를 마련해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오영주 장관은 “우수한 외국인을 국내 중소기업에 유치해 활용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라며 “이번 자문간담회에서 나온 제언을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이 원활하게 국내 중소기업으로 유입될 수 있는 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의해 조만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철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