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2024년 여름철 홍수대책’ 발표
인공지능 홍수예보 등 5가지 중점과제 추진
정부가 올해 여름철 홍수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홍수예보 등 대책을 마련했다.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1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4년 여름철 홍수대책'을 발표했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로 예측하기 어려운 집중호우 등이 자주 발생하고 있어 홍수에 대한 사전 대비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번 대책은 △인공지능 홍수예보 △국민체감형 정보 제공 △취약지역 사전 대비 △홍수 대비 물그릇 확보 △현장 대응역량 강화 등 5가지 중점과제로 추진한다.
구체적으로 AI 홍수예보를 본격 시행한다.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홍수를 예측을 자동화하고 예보관 판단을 지원함에 따라, 더 많은 지점에 대한 예보가 가능하게 됐다. 이를 통해 예보지점을 그간 대하천 중심 75곳에서 지류‧지천을 포함한 223개소로 확대한다.
홍수 발생 전에 하천의 수위를 예측하는 예보뿐만 아니라, 전국에 설치된 수위관측소(673곳)에서 하천수위를 1분 주기로 관측(모니터링)해 수위 상승 등 위험 상황을 관계기관에 전파한다.
도시지역 침수에 대해서도 예보를 확대한다. 지난해에 처음으로 실시한 서울 도림천 도시침수예보를 올해에는 광주(황룡강), 포항(냉천), 창원(창원천) 지역까지 확대해 운영한다. 하천 및 하수관로 수위 등을 확인하여 침수가 예상되는 상황을 지방자치단체에 알리고, 지자체에서 신속하게 주민들을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한다.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홍수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올해부터는 처음으로 차량 운전자가 홍수경보 발령지점이나 댐 방류지점 부근을 집입 시, 내비게이션에서 음성으로 안내를 해주면서 저지대와 같은 위험지역에서 운전을 주의할 수 있도록 한다.
홍수주의보‧홍수경보 알림 문자(CBS)는 개인별 핸드폰 위치정보(GPS)를 활용해 '본인이 침수우려지역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와 '인근 침수우려지역 지도'를 함께 제공하여 위험지역을 신속히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제방 등 하천시설과 하천점용 공사 현장 등에 대해 전문기관(하천협회)과 합동으로 실시한 일제점검을 4월에 완료했고, 미흡한 사항은 홍수기(6월 21일~9월 20일) 전까지 필요한 조치를 완료한다.
하천공사 현장을 포함해 취약한 구간은 전문기관과 합동 조사 후 홍수취약지구로 추가 지정해 집중 현장점검을 통해 관리한다.
지자체가 홍수기 전까지 빗물받이를 점검 및 청소하도록 협조해 도시침수를 예방한다. 지자체가 침수 위험지역에 맨홀 추락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하고 설치된 시설은 집중 점검하도록 관리한다.
집중호우 시 최대한 물을 담아둘 수 있도록 다목적댐(20개)에 대해 홍수기 전까지 집중 방류를 통해 홍수조절용량을 최대한 확보(61.4억㎥)한다.
환경부가 관리하는 다목적댐뿐만 아니라, 관계기관 간 협업해 발전용 댐(7개, 한국수력원자력)과 농업용 댐(36개, 한국농어촌공사)에 대해서도 사전 방류 등 홍수에 대비한다. 특히, 지난해에 월류가 발생한 괴산댐은 홍수기 제한수위를 작년보다 3m 하향해 운영하는 등 홍수조절용량을 추가 확보한다.
지난해 말까지 국가하천 전구간(3602km)에 사각지대가 없도록 설치한 8000여대의 폐쇄회로텔레비전(CCTV)을 활용해 현장상황을 신속히 확인한다. 관계기관에 상황을 전달해 현장대응이 신속히 이뤄지도록 지원한다. 또한, 지자체도 해당 폐쇄회로텔레비전(CCTV)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해 대응능력을 높인다.
홍수대응 지휘본부(컨트롤타워)로서 '물재해종합상황실'을 운영해 홍수예보 및 실시간 하천수위 등 현장 상황을 꼼꼼하게 관측하고 위기상황에 대응한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홍수기 전 남은 기간 동안 하천공사 현장 점검 및 조치 등을 신속히 완료해 홍수 대응에 사각지대가 없도록 하겠다"며 “올 여름 집중호우로부터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홍수 대응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