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적 독자 시점’ VS ‘좀비딸’ VS ‘악마가 이사왔다’ 대결구도
‘좀비딸’, 400만 관객 돌파하며 올 개봉작 최다 관객 동원 ‘승기’
좀비딸, 광복절 연휴에도 박스오피스 1위 지키며 장기흥행 예고
‘악마가 이사왔다’ 기대보다 저조…‘전지적~’ 원작 후광 못누려

▲하반기 극장가에 흥행 질주 중인 영화 '좀비딸' 포스터.사진=NEW
하반기 극장가 대작 첫 번째 대결에서 '좀비딸'이 승기를 잡았다. 지난달 30일 개봉 후 약 보름 만에 400만 관객을 돌파하며 올해 개봉작 가운데 가장 많은 관객이 본 영화에 등극했다. 특히 역주행 인기를 달리고 있는 할리우드 영화 'F1: 더 무비'까지 제치는 성과를 냈다.
하반기 극장가는 지난 7월 23일 개봉한 '전지적 독자 시점'을 시작으로 '좀비딸'과 '악마가 이사왔다'의 잇단 개봉을 앞두고 기대가 높았다. 침체된 극장가에 활기를 불어넣는 동시에 3편이 펼칠 선의의 경쟁에 시선이 모아졌다.
17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좀비딸'은 전날 26만1373명을 동원하며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했다. 개봉 당일부터 17일 연속 박스오피스 정상을 차지했다.
배우 조정석 주연의 '좀비딸'은 올 최고 오프닝 스코어 43만여 명을 찍으며 흥행을 예고했다. 개봉 7일 만에 손익분기점(220만 명)도 일찌감치 달성했다.
동명의 웹툰이 원작인 영화 '좀비딸'은 좀비를 소재로 다루지만 공포 대신 유쾌한 분위기로 이야기를 풀어간다. 조정석 특유의 코믹한 연기가 좀비 바이러스에 감염된 딸(최유리 분)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부성애와 만나 시너지 효과를 냈다.
실제로 여섯 살 딸을 둔 아버지의 모습을 캐릭터에 자연스럽게 녹여냈다. 여기에 이정은, 윤경호, 조여정 등의 열연이 더해져 이야기를 더욱 탄탄하게 만들었다.
'악마가 이사왔다'는 개봉일인 지난 13일 48만554명을 불러 모으며 2위로 출발했다. 하지만 광복절 연휴 기간인 14~16일에는 'F1: 더 무비'에 밀려 3위로 떨어졌다. 16일까지 누적 관객 수는 22만4135명으로 기대보다 다소 저조한 성적이지만 일일 평균 관객 50만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배우 임윤아와 안보현이 주연한 '악마가 이사왔다'는 '빅3' 중에 웹툰이나 웹소설 등을 원작으로 두지 않은 유일한 오리지널 영화로 주목을 받았다. 극중 임윤아가 새벽마다 악마로 깨어난다는 독특한 설정을 기괴한 오컬트로 접근하지 않고 따듯한 가족애로 풀어 소소한 재미가 돋보인다.
대전의 스타트를 끊은 '전지적 독자 시점'은 300억원 이상의 제작비를 투입하고도 흥행에 실패했다. 2018년 연재를 시작해 3억뷰라는 기적의 누적 조회수를 보유하고 있는 동명의 웹소설 실사화로 개봉 전부터 상당한 주목을 받았지만 원작의 후광을 전혀 받지 못했다.
배우 안효섭, 이민호, 채수빈, 나나, 블랙핑크 지수 등 화려한 캐스팅과 컴퓨터그래픽(CG) 기술을 쏟았지만 원작 팬을 사로잡기에 버거웠다. 또 원작의 세계관에 새로운 관객이 유입하기에 벽이 높았다. 결국 105만7905명 관객 동원에 그치며 약 600만 명의 손익분기점에도 턱없이 부족한 성적표를 받아드는데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