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UAE 대통령 방한 계기로 돌아본 바라카 원전, 추가수출 낭보 전해질까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5.30 14:43

우리나라, UAE사례에서 원전 건설역량, 원자로 기술, 가격 경쟁력 등 추가 수주 역량 충분

정부와 한수원, 체코·폴란드 등 추가 원전 수출에 총력 쏟아붓고 있지만 아직 추가 수주 소식 없어

미국과 협력해 진출하는 방안 유력, 프랑스와 경합 중인 것으로 알려져

다만 고준위특별법 불발 등 사용후핵연료 처리 방안 미흡한 점은 약점으로 꼽혀

1

▲윤석열 대통령이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 국빈 방한 친교 만찬에서 무함마드 대통령과 만찬 뒤 악수하고 있다.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연합국(UAE) 대통령이 방한하면서 우리나라가 해외에 수출한 첫번째 원자력발전소인 UAE 바라카 원전과 현 정부의 추가 원전수출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바라카 원전은 한국전력이 한국 최초로 수출한 1400메가와트(㎿)급 APR1400 노형이다. 아랍 지역 최초 상업용 원자력발전소이자 최대 청정전력원으로 꼽히고 있다. UAE 원전 운영사는 지난해 말 한전을 비롯한 팀 코리아의 지원을 토대로 1∼3호기에 이어 4호기도 전력 생산 준비를 완료해 원자력발전소의 본격 운영 단계에 진입했다. 이번 4호기 최초 임계를 계기로 연내 총 5600㎿에 이르는 바라카 원전 전체 1∼4호기의 상업운전 가능성이 높아졌다.


1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1~4호기 전경. 사진제공=한국전력

김동철 한전 사장은 “글로벌 에너지 산업계에서는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해 원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며 “바라카 원전 사업은 최고의 모범사례이며 추가 해외 수주에도 발판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세계원자력협회에 따르면 오는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160여기의 원전 건설이 계획돼 있다. 우리나라는 UAE사례에서 보듯 원전 건설역량, 원자로 기술, 가격 경쟁력 등을 종합할 때 이 중 약 70기를 수주할 수 실력과 경험이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또한 수출 역량이 있는 국가는 사실상 러시아, 일본, 프랑스, 미국, 중국, 한국 이외에는 없다는 점,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배제된 상황을 감안하면 우리나라의 수출 잠재력은 높은 상황이다.


이에 문재인 정부도 국내에서는 탈(脫)원전을 선언했지만 해외 원전수출은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정부와 한국전력·한국수력원자력 등이 영국, 사우디아라비아, 체코 등 다양한 국가들의 문을 두드리고 있지만 아직까지 수주 소식이 들려오지 않고 있다.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연일 체코와 폴란드 원전 수주를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


한수원이 추진하고 있는 체코 원전수출은 성사 가능성이 높은 상황으로 알려졌다. 체코는 두코바니 지역에 1기가와트(GW)급 원전 1기 건설을 우선 추진하고 있다. 한수원은 지난해 10월 최종 입찰서를 제출했다. 신규 원전 사업의 발주사는 현재 입찰 평가를 진행 중으로, 올해 상반기 중 우선협상 대상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폴란드 신규 원전 사업은 민간 발전사인 제팍(ZE PAK) 과 폴란드국영전력공사가 주도해 기존 화력발전소 부지에 신규 원전 건설을 추진하는 사업이다. 한수원은 2022년 10월말 제팍 등과 협력 의향서(LOI)를 체결하고, 사업타당성 조사 착수를 위해 협력하고 있다.


그는 “한국형 원전 'APR-1400'과 같은 대한민국의 원자력기술은 모든 세계시민이 동등하게 사용할 권리가 있다"며 “이 공공재를 가지고 올해는 꼭 성과를 창출해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얼마에 한다고 하면 딱 그 금액으로 맞춘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신한울 1호기 같은 경우에 당초 약속한 딱 5조원에 완공했다. 그런 나라가 없다"고 강조한 바 있다.


또 “이제까지의 건설 실적이라든가 이런 걸 보면 다른 나라들은 정확한 예산에, 약속한 시기에 준공을 한 곳이 하나도 없다. 그런 나라에 돈을 꿔주겠느냐. 특히 당초 제시했던 금액보다 두 배, 세 배 늘어나는 국가와는 공사를 어떻게 하겠냐"고 말했다.


황 사장은 “네덜란드, 핀란드, 벨기에, 카자흐스탄, 베트남, 필리핀, 남아프리카공화국과도 원전 수출 논의를 진행 중"이라며, “유럽 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도 한국형 원전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에너지 안보 위기가 한국 원전업계에 새로운 기회가 되고 있다. 위기를 기회로 반전시켜서 탈원전 정책으로 무너진 한국 원전 산업을 부활시키겠다"고 말했다.


한편 업계에서는 정부와 정치권이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원전업계 관계자는 “아직 우선협상자 선정도 안된 게 현실"이라며 “또 지난 국회에서 고준위방사성폐기물특별법이 결국 통과하지 못했다. 도입국들은 이 부분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어 이는 우리에게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협상 주관과 금융지원, 포괄적 경제협력, 외교협력, 원자력 인력양성, 인허가 지원 등을 총괄할 범 부처적 유기적 협력체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과 원전 수출의 막대한 경제적, 외교적 효익을 고려하여 원전수출지원특별법 제정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전지성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