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세계건설이 최근 6500억원 규모의 자금 수혈로 유동성 위기에서 벗어났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주가가 일주일간 40% 급등했다. 다만 실적 개선 없이 장기적인 주가 상승은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다. 신세계건설
6500억원 자금조달 호재에 유동성 급한 불 꺼
이마트, 신종자본증권 자금보충약정으로 급등세
신세계그룹의 '아픈 손가락' 1분기 영업손실 확대
사업장 그룹 의존 한정적, 대구 미분양 여파 지속
신세계건설 주가가 일주일 만에 40% 넘게 급등했다. 최근 6500억원 규모의 자금 조달이 호재로 인식되면서 주가를 끌어올렸기 때문이다. 다만 유동성 확보로 당장 급한 불은 껐지만 실적 개선 없이는 장기적인 주가 상승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유동성 위기 극복 기대감에 일주일 새 주가 41% 상승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신세계건설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8.70% 하락한 1만36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9거래일만에 하락한 것으로 신세계건설 주가는 지난달 30일 보합을 기록한 것을 제외하면 지난달 22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오름세를 기록해왔다. 이 기간 주가는 41% 상승했다. 1만원에 거래되던 주가는 일주일 새 1만5000원에 육박했다. 이날 역시 하락 마감했으나 장중 한때 1만5500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단기간 주가가 과열 양상을 보이자 한국거래소는 지난달 31일 신세계건설을 단기과열종목으로 지정할 수 있다는 지정예고를 공시하기도 했다.
신세계건설 주가가 단기간 급등한 데는 대규모 신종자본증권 발행 승인 공시의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 신세계건설은 지난달 28일 이사회에서 재무구조 개선과 선제적 유동성 확보를 위해 6500억원 규모의 만기 30년 신종자본증권 신규 발행을 승인했다고 공시했다. 이자율은 7.078%로 사채만기일은 발행일로부터 30년 뒤인 오는 2054년 5월29일까지다. 이를 통해 신세계건설은 올 1분기 말 807%였던 부채비율을 200% 미만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신종자본증권 발행에 대한 자금보충약정은 신세계건설의 최대주주인 이마트가 제공하기로 했다. 신세계그룹 내 '아픈 손가락'으로 불리던 신세계건설의 유동성 위기를 그룹 차원에서 봉합한 셈이다. 앞서 신세계건설은 지난해 말 위기설이 불거졌을 때도 그룹 지원을 통해 사채 발행과 영랑호 리조트 흡수 합병 등의 방법으로 자금을 조달한 바 있다.
신세계그룹의 '아픈 손가락'…실적 개선은 여전히 '안갯속'
업계에서는 신종자본증권이 부채비율 상승을 통제하면서 외부에서 자금을 끌어올 수 있기 때문에 신세계건설이 미분양으로 악화된 재정 위기를 막을 시간을 벌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대규모 자금 수혈로 유동성 확보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주가도 공시 직후 10.50% 올랐으며 다음날인 지난달 29일에도 19.42% 급등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 유동성에 숨통이 트였을 뿐 부동산 시장 부진에 적자가 계속되고 있다는 점은 주가에 여전히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자금 수혈로 재정 위기는 막았지만 실적 개선도 불확실한 상황이다.
올 1분기 신세계건설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매출액이 1748억원인데 매출원가가 이보다 많은 1825억원을 기록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여파로 원가가 올랐기 때문인데 원가 상승에 이익률이 하락하면서 1분기 영업적자는 313억원으로 전년 동기(131억원) 대비 적자 폭이 확대됐다.
아울러 수주 실적도 저조하다. 신세계건설은 자사 주거 브랜드인 '빌리브'를 내세워 대구 사업장에서 수주를 잇따라 추진해왔는데 지난해 건설업 불황으로 대구에서 미분양이 대거 발생하면서 재무 리스크가 높아졌다. 스타필드 청라, 동서울터미널 현대화 사업 등 그룹 내 수주를 이어가고 있지만 사업장이 한정적인 상황이다.
또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가 총수일가 보유지분이 20% 이상인 회사가 지분 50%를 초과 보유한 회사도 일감 몰아주기 규제 대상에 포함되도록 했다. 이마트는 1분기 기준 신세계건설 지분의 70.46%를 보유하고 있는 최대주주다. 모기업인 이마트를 통해 수주를 늘릴 경우 일감 몰아주기 의혹으로 번질 수도 있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증권가에서도 “실적 가시성 낮고 불확실성 커"
최근 증권사에서 발표한 신세계건설 보고서는 없다. 하지만 모기업인 이마트에 대해 증권가에서는 자회사인 신세계건설 리스크가 크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KB증권은 최근 이마트에 대해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하고 목표가를 7만4000원으로 8% 하향했다. 박신애 KB증권 연구원은 “신세계건설의 1분기 영업적자 폭이 확대되면서 신세계건설 관련 불확실성이 이마트의 추세적인 주가 반등을 가로막고 있다"고 분석했다. 조상훈 신한투자증권 연구원도 “신세계건설의 실적 가시성이 낮아지는 점은 우려 요인"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