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들이 발표한 종목 보고서에서 여전히 투자의견 '매수'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달 20일 기준 올해 발행된 기업 보고서는 8662건이다. 이 중 투자의견을 '매수' 의견은 8012건(92.5%)으로 비중이 가장 컸다. '보유(Hold)'는 636건(7.34%), '강력매수'는 8건(0.09%)으로 집계됐다.
반면 '매도'로 제시한 보고서는 단 2건(0.02%)에 불과했다. 매도 의견에 가까운 '비중 축소'는 4건(0.05%)이었다.
올해 기업 분석 보고서를 발행한 국내 증권사 30곳 중 28곳(93.3%)은 투자의견을 매도로 제시한 보고서가 한 건도 없었다. 자기자본 4조원 이상의 대형 증권사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KB증권, 하나증권, 메리츠증권, 신한투자증권, 키움증권 등이 모두 포함됐다.
매도 의견을 제시한 증권사는 한화투자증권, BNK투자증권 등 두 곳(6.6%)이었다. 비중 축소 의견을 낸 곳은 유진투자증권 뿐이다.
한화투자증권은 지난 2월 카카오뱅크 매도 의견을 냈다가 4월 '보유'로 투자 의견을 상향 조정했다. BNK투자증권은 지난달 한진칼에 대해 매도 의견을 냈다. 유진투자증권은 지난 1월부터 이달까지 네 차례에 걸쳐 에코프로비엠에 대한 비중 축소 의견을 제시했다.
이에 반해 동 기간 외국계 증권사는 대체로 10% 넘는 매도 의견을 제시했다.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증권 서울지점은 올해 제시한 투자 의견 중 매도가 16.7%로 가장 컸다. 그 뒤를 모건스탠리증권 서울지점(16.4%), 메릴린치증권 서울지점(22.8%), 맥쿼리증권(9.1%), 노무라금융투자(15.6%), JP모건증권(13%) 등이 이었다.
국내 증권사들의 '매수 편향' 투자의견은 이미 오랜 기간 지적된 문제다. 작년 금융감독원이 올바른 리서치 문화 정착을 위한 증권업계의 자정 노력이 필요하다고 공개 지적하기도 했지만 별다른 진전이 없는 분위기다.
현실적인 원인 중 하나로 해당 기업 정보에 대한 접근 문제가 꼽힌다. 국내 기업은 실적 가이던스(예상치)를 내는 곳이 거의 없어 가이던스를 산출해야 하는 애널리스트 입장에서는 기업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다. 부정적 보고서를 낼 경우 IR 참여 제한이 생기거나 정보를 주지 않는 등 불이익이 있을 수 있어서다. 매수 의견을 유지한 채 목표주가를 낮추기만 해도 해당 회사포부터 오는 경우도 있다.
국내 증권사의 비즈니스 모델의 한계점도 지적된다. 소속 증권사 법인영업본부가 자사 애널리스트 보고서를 기반으로 국내외 기관 투자자 등에게 세일즈를 하기에, 매도 의견 보고서는 결국 증권사의 수익 기여도를 낮출 수밖에 없는 구조다. 애널리스트도 분석 업무 외에 법인영업이나 국제영업을 돕는 일을 병행해 자신의 성과 평가로 이어진다. 분석 대상이 되는 기업 대부분이 증권사의 IB 등 고객이라는 점도 부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