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투기 20대 및 후속군수지원·2026년말 전력화 추진…F-4·F-5 대체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방위사업청과 한국형전투기 KF-21 보라매 최초 양산계약을 체결했다.
25일 KAI에 따르면 이번 계약은 KF-21 20대와 기술교범·교육 등 후속군수지원을 내용으로 하는 것으로 총 1조9600억원 규모다.
KF-X 체계개발사업은 공군의 장기운영 전투기 F-4·F-5를 대체하고 미래 전장운용개념에 부합되는 4.5세대 전투기를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2015년 착수했다.
총 개발기간은 10년 6개월로 현재 진행률은 80% 수준이다. 2026년 체계개발 완료 이후 양산기 납품 및 공군 전력화가 이뤄지게 된다.
KF-21은 2022년 7월 시제 1호기 초도비행을 시작으로 시험비행에 돌입했고, 올 3월 공중급유 비행에 성공하는 등 원거리 작전능력을 확보했다.
또한 미티어 공대공미사일 유도발사 성공 및 항공기 고도·속도·기동성 등 임무영역을 확장했다. 지난해 5월 잠정 전투용 적합 판정도 받았고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최초 양산 승인을 받았다.
KAI는 양산계약을 앞두고 △협력사 부품공급망 점검 △생산시설 구축 △치공구 확보를 비롯한 준비를 했다.
KF-21 개발에는 600여개 국내 협력사가 참여하고 있으며 국산화율 65%가 목표다. T-50 고등훈련기와 KUH-1 수리온 납품이 진행되면서 국산화율이 향상된 것처럼 보라매의 국산화율도 높아질 전망이다.
KAI는 보라매가 FA-50 다목적전투기의 뒤를 잇는 K-방산의 차세대 주자로 자리잡길 기대하고 있다.
KF-21은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등장 이후 처음 개발되는 전투기로 최산 항전장비·첨단소재·기술들이 적용됐다.
KAI는 보라매 기반 플랫폼 및 연관 무기체계 발전에 필요한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유무인복합체계(MUM-T) 기술 및 차세대 공중전투체계(NACS)를 비롯한 6세대 전투기로의 확장 등 글로벌 시장 개척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강구영 KAI 사장은 “많은 도전과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정부·공군·방사청·개발업체 등 관련 기관들의 탄탄한 협력이 있었기에 양산까지 안정적으로 올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KF-21은 항공우주산업 불모지 대한민국에서 일궈낸 역사적 성과로, 진정한 자주국방의 상징물"이라며 “대한민국 항공전력 강화와 첨단 항공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