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유턴’에 선택지 줄어든 롯데손해보험...매각 방향은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7.01 18:16

롯데손보, 금융지주 매각 사실상 멀어져...PEF 위주 될듯
업계 “보유계약·브랜드 계약 등 인수 후 가치 변화가 중요”

롯데 CSM 수치 증명·동양 품은 뒤 경영상 가치 등 고려했을 듯
흥행·레이스 완주 등 미지수...“JKL 급한 추진 않을 것”

롯데손해보험.

▲롯데손해보험.

롯데손해보험 본입찰에 우리금융지주가 참여하지 않음으로써 금융지주로의 매각이 사실상 무산됐다. 업계에선 우리금융이 '향후 가치' 측면에서 수지타산이 맞지 않은 것을 손을 뗀 이유로 보고 있다.





업계 “우리금융, 롯데 손 뗀 배경엔 '인수 후 가치' 면밀한 고려 예상"

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우리금융은 현재 중국 다자보험그룹으로부터 동양·ABL생명 두 회사를 패키지로 인수하는 내용의 비구속적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인수합병(M&A)에 대해 협의 중이다. 이와 함께 우리금융은 지난달 28일 인수를 고려했던 롯데손보 본입찰에는 불참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당시 우리금융은 “비은행 경쟁력 강화 방안의 일환으로 롯데손보 지분 인수를 검토했으나 인수를 추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우리금융이 노선을 동양·ABL생명으로 변경한 가장 큰 배경엔 가격 협상을 두고 양 측의 눈높이가 좁혀지지 않은 게 가장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시장에 알려진 롯데손보 매각가는 2조원 대 중반에서 최대 3조원 가량이다. 우리금융은 1조원 대 중반 수준의 가격을 제시했을 것이란 관측이다. 우리금융은 “오버페이는 없다"며 무리한 가격으로 인수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확고히 해왔다.



업계에선 우리금융이 당장 '비싼 몸값'에 따른 가격적 부담 외에도 실사 후 미래가치측면에서 롯데손보의 가능성에 회의감을 느꼈을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특히 롯데손보가 퇴직연금보험 비중이 여전히 높다는 점이 우리금융의 실사 과정에서 불리한 요소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앞서 2019년 JKL파트너스에 인수되기 전 퇴직연금보험 판매에 집중한 이력이 있고 물량 중 다수에 대해 유동성 우려가 따라붙고 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퇴직연금 중에서도 과거 롯데그룹 계열사 시절 들어온 물량과 JKL측 물량이 높은편에 속해 이 물량이 빠져나갈 경우 해당 사업에서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롯데손보가 롯데그룹과 맺고 있는 롯데 브랜드 사용계약이 유한하다는 점도 향후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다. 현재 롯데 브랜드 사용계약은 올해 3분기 중 만료를 앞두고 있다.


신계약서비스마진(CSM) 성장성에 대한 시장의 의구심도 다 걷히지 않았다. CSM은 보험사가 보험계약을 통해 거둬들일 것으로 기대되는 장래의 이익이다. 롯데손보의 지난해 말 기준 CSM 잔액은 2조3966억원이며 이 중 신계약 CSM이 22.9%를 차지했다. 이는 대형사인 삼성화재 7.9%, 현대해상 6.5%, 메리츠화재 12.4%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CSM마진율(작년 말 장기보험 기준, 52.0%) 또한 업계 최상위 수준으로, 삼성화재 30.0%나 현대해상 35.2% 등을 웃돌아 업계 다수 보험사가 비슷한 마진률을 보인 것과 비교하면 장기적으로 수익성을 관찰할 필요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실사 결과 수지타산이 맞지 않았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현재 CSM 성장과 지난해 최대실적은 어느 정도 롯데손보 몸값을 입증하는 요소가 됐지만 당장 얼마에 사느냐보다 인수 후 롯데손보 보유 계약을 넘겨받은 뒤 재무적 변화나 향후 롯데손보의 네임밸류 이슈, 인수 후 경영상 타 매물인 동양생명과의 브랜드파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알짜 매물 동양엔 '기대감'…롯데손보 매각 완수는 '물음표'

우리은

▲우리금융지주, 우리은행.

우리금융이 동양생명을 선택한 이유로는 손보를 포기하고 생보업권에서 전략을 달리 가져가기에 큰 무리가 없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업권으로만 따지면 우리금융이 현재 생명보험사에 비해 실적이 잘 나오고 있는 손해보험사에 관심을 둘 것이란 관측이 많았다. 그러나 롯데손보와 동양생명 모두 현재 보험사 매물 중 우량한 알짜매물들로 꼽히고 있다.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동양생명과 ABL생명의 자산을 더하면 49조9109억원으로 신한라이프생명(57조5952억원)과 NH농협생명(53조8435억원)의 자산규모에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다. 생보업계 관계자는 “매각 의지는 (롯데나 동양) 양쪽 다 같지만 동양은 건전성이나 브랜드파워까지 갖췄다"며 “다자그룹이 가격면에서 우호적인 상황이고 보장성판매에 드라이브를 걸면 손해보험업권만큼 실적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겠단 계산을 하지 않았겠나"고 말했다.


일각에선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으로선 동양·ABL생명 인수 후 염가매수차익이 발생하게되는 점을 두고 회계나 향후 수익성 측면에서 긍정적 요소로 봤을 것이란 접근도 나온다. 염가매수차익은 인수되는 기업의 주가순자산비율이 1 이하일 경우, 인수하는 기업의 지불한 가격이 인수되는 기업 순자산의 시가보다 낮으면 이에 대한 차익만큼 인수하는 기업이 얻게되는 이익을 뜻한다.


한편 롯데손보의 본입찰에 소수 외국계 투자사 위주로 관심을 가진 것으로 알려지면서 인수전 흥행 여력이 일부 꺼트려진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본입찰엔 예비입찰 때부터 문을 두드렸던 외국계 사모펀드 몇 곳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다. '깜짝 등판' 가능성이 열려있었던 타 금융지주사들도 참여하지 않으면서 사실상 선택지가 사모펀드로 좁혀진 형국이다.


이번 참여자들이 매각 레이스를 끝까지 완주할지도 미지수다. 우리금융의 불참으로 인해 이후 진행되는 매각 과정에서도 JKL파트너스의 가격 협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예상과 롯데손보 또한 헐값을 고려할 만큼 급하게 추진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동시에 나온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보험사가 금융지주를 주인으로 맞이하는 게 인수과정상이나 향후 계열사간 시너지 등 경영상 가능성이 높고 나은 방향인데 이 부분의 동력이 약해진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박경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