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년생’ 김병환 금융위원장 온다...‘실세’ 이복현 원장과 관계는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7.04 15:24

신임 금융위원장에 김병환 기재부 제1차관
대통령직 인수위·경제금융비서관 역임...엘리트 관료

‘72년생’ 이복현 원장에 이은 파격 인사
금감원과 관계 변화 및 금융위 세대교체 불가피

부동산 PF 리스크-가계부채 최대현안
스트레스DSR 두 달 연기 놓고 시장 비판 지속

김병환

▲김병환 금융위원장 내정자.

신임 금융위원장에 김병환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발탁되면서 금융권 안팎으로 큰 소용돌이가 휘몰아칠 전망이다. 김병환 금융위원장 내정자는 1971년생으로 역대 최연소 금융위원장이고, 윤석열 정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1분과 전문위원, 대통령실 경제금융비서관을 지내며 현 정부의 국정철학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인물로 꼽힌다.




특히나 1972년생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금감원장으로는 이례적으로 현 정부 금융정책의 '스피커 역할'을 맡았던 가운데 김병환 내정자가 이 원장과 어떠한 호흡을 보여줄 지 관심이다.



윤 정부 엘리트 정책 관료, 금융·거시경제 식견 탁월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임 금융위원장으로 내정된 김병환 내정자는 엘리트 정책 관료이자 금융, 거시경제 전문가로 불린다.



경남 마산 출신인 김 내정자는 부산 사직고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1993년 행정고시 37회로 공직에 입문해 옛 재정경제원에서 공직을 시작했다. 금융정책실 증권업무담당관실, 증권제도담당관실에서 근무하며 금융정책 경험을 폭넓게 쌓았다.


기획재정부에서는 자금시장과장, 경제분석과장, 종합정책과장, 혁신성장추진기획단 단장, 경제정책국장 등을 역임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시절에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경제1분과 전문위원으로 파견됐고, 현 정부 출범과 함께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실 경제금융비서관에 임명됐다. 작년 8월 거시경제 정책과 세제를 총괄하는 기재부 1차관에 임명된 지 10개월 만에 금융위원장에 내정됐다.




정진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김 내정자에 대해 “금융정책, 거시 경제 정책을 두루 담당한 정통경제 금융관료"라며 “금융 및 거시경제 전반에 대한 탁월한 식견을 바탕으로 금융 산업 선진화와 금융시장 안정이라는 정책 과제를 효과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복현 원장보다 한 살 위...금융위, '세대교체' 예고

이번 김 내정자의 인사는 그야말로 파격이다. 김병환 내정자는 김주현 현 금융위원장(1958년생)보다 13살 어리다. 김 내정자가 청문회를 통과해 금융위원장으로 공식 취임하면 기존 최연소 위원장이었던 제4대 신제윤 전 금융위원장(55세)을 제치고 역대 최연소 금융위원장이라는 타이틀을 달게 된다.




이복현 금감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가장 큰 관전포인트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의 호흡이다. 이복현 원장은 현 정부의 실세로 불리며, 역대 금융감독원장으로는 이례적으로 금융위원장을 제치고 정부 금융정책의 '스피커' 역할을 담당했다. 금융정책, 금융시장 주요 현안은 물론 배임죄 폐지와 같은 다소 민감한 사안에도 이 원장이 금융위원장보다 앞장서서 목소리를 냈다.


그러나 현 정부의 브레인으로 불리는 김병환 내정자가 최연소 금융위원장으로 발탁됨에 따라 금융위 내부 인사는 물론 금융위, 금융감독원 간에 관계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복현 원장은 작년 11월 말 단행한 부서장 인사에서 본부 전 실무 부서장을 70년대생(1970~1975년생)으로 배치하며 세대교체를 마무리한 바 있는데, 김 내정자도 파격 인사를 단행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부동산PF 연착륙, 가계부채 관리...현안 '산적'

금융권에서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착륙, 가계부채 관리 등 금융정책 현안에 대해 김 내정자가 펼칠 정책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김 내정자는 그간 정부가 추진한 PF 연착륙 방안을 차근차근 진행하면서 부동산PF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한편 가계부채를 비롯한 금융시장 안정, 금융 산업 발전, 소비자 보호 등 금융정책들을 달성하는데 주력할 전망이다.


현재 시장에서는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한도를 축소하는 조치인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 시행일을 기존 7월 1일에서 9월 1일로 2개월 연기하면서 가계부채 관리 방향과 엇박자를 내고 있다는 지적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다만 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속될 경우 정부가 추진 중인 PF 연착륙 대책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어 금융당국의 고심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금융권 관계자는 “일정 수준의 가계대출을 일으켜 부동산 가격이 올라야지만 부동산 PF 시장 연착륙도 가능한데, 현 정부는 부동산 시장을 망가뜨리지 않으면서도 가계부채를 관리해야 하는, 상당히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며 “(김 내정자가) 금융정책의 큰 틀은 유지하면서, 이러한 현안들을 잘 해결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금융정책과 별개로 실세(김 내정자)와 실세(이 원장)의 만남이라는 포인트가 흥미롭다"며 “(김 내정자 취임 이후에도) 가계부채 관리, PF 안정화 같은 큰 정책 방향에는 변화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되나, 금융권에 새롭게 당부하는 내용이 있을지 주목된다"고 밝혔다.



나유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