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에너빌리티, K-가스터빈 앞세워 국내외 시장 공략 가속화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7.08 14:57

2036년 국내 LNG발전 설비용량 64.6GW·올해 대비 42.6%↑

5년간 국내 수주 목표 7조원…400MW급 수소터빈 개발 중

두산에너빌리티

▲분당복합발전소 조감도

두산에너빌리티가 우리 기술로 만든 가스터빈을 국내 시장에 공급하고 해외로 뻗어간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에너빌리티의 올해 가스·수소터빈 국내 복합주기기 수주 목표는 7000억원 규모로 달성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올 초 한국남부발전과 2800억원 규모의 안동복합발전소 2호기 주기기 공급계약, 최근 한국남동발전과 2600억원에 달하는 분당복합 현대화사업 1블럭 주기기 공급계약을 체결한 영향이다.



이들 사업과 유사한 수준의 프로젝트를 한 개만 더 따내도 초과달성이 가능하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이를 비롯해 향후 5년간 국내에서 7조원 이상의 가스터빈 관련 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여기에는 신규 수주 뿐 아니라 기존에 공급한 제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비롯한 후속지원도 포함된다.


앞서 남부발전과 가스터빈 로터 6기 수명연장 계약도 맺는 등 발전소들이 해외 원제작사에 맡기던 작업도 국산화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로터 전체분해·잔존수명평가·신품 디스크 교체·재조립을 비롯한 전과정을 창원공장에서 수행할 계획이다.




에너지정책에 따른 신규 발전소 건설도 예상된다. 지난해 발표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액화천연가스(LNG)발전 설비용량은 올해 45.3GW에서 2036년 64.6GW로 증가할 전망이다.


전기차 보급 확대, 인공지능(AI) 구현을 위한 데이터센터 구축 등으로 같은 기간 전력소비량이 572083GWh에서 703165GWh로 늘어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다른 발전원들이 각자의 어려움을 갖고 있는 것도 가스발전에 힘을 싣는 모양새다. 우선 석탄화력소는 미세먼지 및 온실가스 저감을 비롯한 이유로 가스발전으로 전환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원자력발전소는 고준위방사성폐기물처리장 건설, 재생에너지의 경우 간헐성 문제 등의 난제를 쉽사리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

▲두산에너빌리티 가스터빈 로터 조립체

아직 사우디·미국 등에서 굵직한 성과를 거두지는 않았으나, 국내에서 쌓은 실적을 토대로 해외 진출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필리핀에서 한국형 가스터빈과 수소터빈을 소개했고, 최근 마누엘 베레즈 판길리난 메랄코 회장 등이 창원 본사를 찾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메랄코는 필리핀 최대 전력기업이다.


가스터빈 개발 과정에서 습득한 노하우를 녹여 수소터빈도 개발 중으로 한국동서발전 울산복합발전소에서 H급 수소터빈의 50% 혼소 기술을 실증할 계획이다.


H급 터빈은 1500도 이상의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초내열 합금 소재로 만든 고효율 제품이다. E급 터빈 대비 연간 460억원에 달하는 연료비를 절감하고 탄소 배출량도 5만t 가량 줄일 수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세계 최초 400MW급 초대형 수소 전소터빈도 개발한다는 목표다. 수소터빈은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회전 에너지를 만드는 것으로 전소터빈은 천연가스를 비롯한 기존의 화석연료를 섞어서 쓰지 않는 특성 때문에 온실가스 배출이 없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점차 수소발전 비중을 높인다는 방침을 세웠다는 점에서 향후 수소터빈 시장도 개화될 것"이라면서도 “질소산화물(NOx) 발생을 제어하고 기존 가스터빈 보다 훨씬 빠른 화염속도를 견딜 수 있는 기술력이 필요하고, 가스발전 수준의 가성비를 구현하는 것도 과제"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