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방송 “온라인 구매 지표 반영해야” vs 홈쇼핑 “판매 수익 절반 차지”
수수료 기준점 사업자마다 천차만별…명확한 가이드라인 마련해야
올해는 ‘블랙아웃’ 현실화 가능성…정부 역할 확대 필요성도 제기
홈쇼핑업계와 유료방송업계의 송출수수료 협상이 올해도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양측 모두 실적 부진이 장기화된 가운데 수수료 산정 기준 및 지표를 둘러싸고 팽팽하게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홈쇼핑과 유료방송 사업자 간 2024년도 송출수수료 협상이 한창이다. 올해 초부터 인터넷TV(IPTV)와 협상을 진행 중이며, 케이블TV·위성방송은 다음달부터 돌입할 예정이다.
송출수수료는 홈쇼핑사가 유료방송사에 채널을 배정받고 지불하는 비용으로, 지상파 채널에 가까워 소비자의 접근성이 높은 번호일수록 금액이 높게 책정돼 있다. 협상을 통해 수수료율이 결정되면, 해당 기준을 당해 1월부터 협상 완료 시점까지 소급 적용하는 구조다.
업계는 올해도 협상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수수료 산정 기준이 여전히 모호한 데다 양측 모두 불황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지난해에는 현대홈쇼핑·롯데홈쇼핑·CJ온스타일 등 주요 홈쇼핑사가 LG헬로비전·KT스카이라이프·딜라이브 등을 상대로 '블랙아웃(송출 중단)'을 통보하는 등 갈등이 극단으로 치달았다.
홈쇼핑 업계는 판매 수익의 절반 가량이 수수료로 나간다며 인하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방송통신위원회의 '2023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에 따르면 지난해 방송사업 매출액 중 송출수수료 비중은 케이블TV 42.2%, 위성방송 36%, IPTV 30.8%로 집계됐다. 유료방송 시청자가 급감함에 따라 매출이 줄어들면서 그 비중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다만 수수료 인상폭은 점진적으로 축소되고 있다. TV홈쇼핑협회 '2023년도 TV홈쇼핑 산업 현황'에 따르면 TV홈쇼핑 7개 채널 및 겸영 T커머스 5개 채널 수수료의 전년 대비 증가율은 2018년 10.3%까지 올랐지만, 2022년 5.2%로 낮아졌고 지난해에는 1%까지 떨어졌다.
수수료 매출액 또한 IPTV를 제외하고 감소세다. IPTV 매출액은 1조4795억원으로 전년보다 4.1% 증가한 반면 케이블TV 7561억원, 위성방송 1795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3.2%, 1.3% 줄었다.
유료방송업계는 홈쇼핑 사업자의 온라인·모바일 매출을 방송 매출에 포함한 수수료 산정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방송 시간 동안 QR코드·카카오톡 등 채널을 통한 결제를 유도하는데, 관련 매출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KCTA)가 지난해 8~9월 1달간 TV홈쇼핑 7개 채널의 방송 꼭지 1341개를 모니터링한 결과, 모든 방송 꼭지에서 최소 1개 이상의 인터넷·모바일 결제 유도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료방송업계 한 관계자는 “홈쇼핑사는 송출수수료를 수익 감소 원인으로 지목하지만 국내 방송산업 생태계가 글로벌 빅테크에 잠식되는 현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방송산업 활력이 높아져야 악순환이 해결되는 측면도 있는 만큼 방송 규제 전반에 대한 재검토도 고려해볼 시점"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지금보다 더 적극적인 모션을 취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3월 '홈쇼핑 방송채널 사용계약 가이드라인'을 가동했다. 그러나 법적 구속력이 없을 뿐 아니라 모바일·인터넷 매출 반영 수준을 사업자 간 합의에 맡기고 있어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국회입법조사처는 양 사업자가 수수료 산정 근거인 대가산식 요소에 합의하지 못하고 있고, 이에 대한 데이터도 신뢰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결국 대대적 개선이 없다면 올해는 '블랙 아웃'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김용희 경희대 교수는 지난 3일 한국방송학회 기획 세미나에서 “각 사업자들이 생각하는 기준점이 다르기 때문에 협상으로 해결하기 어려울 수 있다. 공정한 심판이 필요하다"며 “정부가 그동안 분명한 의지를 갖고 정책적 개입을 해왔지만, 소극적인 개입으로는 더 이상의 해결이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