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까지 금리인하 6회 예상…헬스케어株 투자 유효”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7.31 11:40

31일 AB운용 ‘하반기 주식·채권시장 전망 간담회’

“올해 2회, 내년 4회 내릴 것…양적완화 돌입 주목”

“M7 쏠림 정상화, 거시경제 불확실성 대비해야”

AB자산운용 “올해 금리인하 2회 가능…헬스케어주 투자 여전히 유효

▲AB자산운용이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하반기 주식·채권 시장 전망에 대한 간담회를 가졌다. (사진 왼쪽부터) 발표를 맡은 유재흥·이재욱 선임 포트폴리오 매니저. 사진=성우창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하 연준)가 내년까지 기준금리를 총 6회 인하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글로벌 자산운용사 얼라이언스번스틴(AB)은 올 하반기 글로벌 주식·채권시장 전망을 발표하며 이같은 의견을 냈다. 주식의 경우 밸류에이션이 저평가되면서 실적이 뒷받침하는 우량 성장주를 돌아봐야 한다며,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헬스케어 관련주를 추천했다.




지난 1967년 미국에서 설립된 AB자산운용은 현재 27개국 54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글로벌 운용자산 규모는 약 1011조원에 달한다.


31일 AB운용은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올해 글로벌 주식·채권시장 전망에 대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연사로는 유재흥·이재욱 선임 포트폴리오 매니저가 나섰다.



유재흥 매니저는 “앞서 연내 4~5회 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2분기가 도래하자 그런 기대가 많이 사라졌다"며 “하반기 들어 다시 기대감이 올라오고 있으며, 오는 9월부터 금리인하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유 매니저는 현재 인플레이션이 상당 부분 안정됐으나 미 연준의 목표치에는 미치지 못해, 금리 인하가 이뤄지더라도 오랜 기간 과거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봤다. 주거비용 증가에 따라 서비스 물가 여전히 높기 때문이다.




그는 “연준이 분기마다 금리 인하를 한다고 가정하면 올해 2회, 내년 4회 정도를 예상할 수 있겠다"며 “현재 진행 중인 7월 FOMC에서 금리인하가 발표될 수 있지만, 중요한 것은 금리 인하의 정확한 시점이 아니라 연준 등 주요국 중앙은행이 양적 완화 사이클에 진입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시장 상황에서 유 매니저는 채권 투자 시 △현금 대신 채권 보유량 확대 △단기채보다 장기채 △크레딧 채권을 보유하면서 국채와 분산 투자하는 것이 현 시장 상황상 적합하다고 강조했다.




주식 파트를 담당한 이재욱 매니저는 가장 먼저 '소수 종목 집중 현상의 정상화'에 대비하라고 조언했다. 올 상반기까지 '매그니피센트 7' 등 빅테크 종목에 자금이 몰렸지만, 이들 기업의 펀더멘털이 고평가된 주가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상반기 가장 핫한 종목으로 꼽혔던 엔비디아의 경우 2분기 실적이 발표되자마자 주가가 급락, 투자자들이 떠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매니저는 “최근 2분기 실적 발표에 의한 주가 움직임을 보면 상반기 주가 상승폭이 컸던 기술주의 조정이 일어나는 모습을 볼 수 있다"며 “소수 종목 쏠림 현상 뒤 정상화 움직임은 역사적으로 반복됐으며, 이는 내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두 번째로는 '거시경제에서의 지정학적 불확실성'에 대비하라고 언급했다. 오는 11월 예정된 미국 대통령 선거에 의한 불확실성이 당분간 지속될 거싱라는 설명이다. 이런 환경에서는 불확실성에도 흔들리지 않는 우량한 펀더멘털적을 가진 종목에 집중하라는 의견이다.


이 매니저는 “결국 투자자들은 밸류에이션이 지나치게 높지 않으면서 실적이 뒷받침되는 '우량 성장주'에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AI·고령화 수혜를 받으면서 밸류에이션이 저렴한 헬스케어 업종에 여전히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이 매니저는 지난 상반기에도 투자자들에게 헬스케어 관련주 투자를 권한 바 있다.


단 최근 제시되고 있는 'AI 버블' 우려에는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이 매니저는 “과거 인터넷 버블과는 달리 AI는 다수 기업들이 수익 모델을 기반으로 건강한 현금흐름을 보유한 상태에서 투자하는 것"이라며 “현재는 AI 관련 기업의 펀더멘털에 의해 주가가 고평가 됐기에 급락이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성우창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