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고양시 ‘수정법 규제개선’ 집중…자족기능 강화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8.02 14:26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과밀억제권역 규제완화 TF위원회 발대식 참석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과밀억제권역 규제완화 TF위원회 발대식 참석. 제공=고양특례시

고양=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고양특례시는 40년 넘게 지역성장을 가로막고 있는 수도권 규제가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규제개선을 추진한다. 특히 과밀억제권역 공업지역 규제개선방안을 마련하고 법률 개정을 통해 자족기능 확보를 위한 돌파구를 찾겠다는 방침이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2일 “고양시는 수도권정비계획법 입법 취지와는 달리 수도권 주택난 해소를 위해 인구만 늘어나고 기반시설은 부족해 성장 기회를 빼앗긴 상황"이라며 “턱없이 적은 공업물량을 확보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담아 과밀억제권역 11개 지자체와 협력해 규제개선을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른 수도권 권역 구분현황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른 수도권 권역 구분현황. 제공=고양특례시

고양특례시 일산신도시 전경

▲고양특례시 일산신도시 전경. 제공=고양특례시

◆ 인구과밀 늘리고 자족기능 막는 과밀억제권역

고양시는 수도권정비계획법(이하 수정법)에 따라 과밀억제권역으로 받고 있는 불합리한 규제를 개선하기 위해 과밀억제권역 11개 지자체와 함께 공동대응협의회를 구성해 규제완화를 추진하고 있다.



수정법은 수도권에 과도하게 집중된 인구와 산업을 적정하게 배치해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1982년 제정됐다. 수정법에 따라 수도권은 과밀억제권역, 성장관리권역, 자연보전권역 등 3개 권역으로 구분돼 차등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 중 과밀억제권역에선 학교나 공공청사, 연수시설, 인구집중유발시설 신설 또는 증설이 금지되고 공업지역 지정도 금지된다. 법인을 설립하거나 이전하면 취득세-등록면허세가 중과세된다.




원래 수정법은 인구와 산업 집중 예방이 목적이지만 수도권 인구집증이 심화되고 수도권에서도 과밀억제권역과 성장관리권역의 경제적 격차가 벌어지며 변화한 현실에 맞게 규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됐다.


특히 고양시는 국가 주도 택지개발사업으로 대규모 주택이 공급되며 인구가 급격히 늘어난 반면 과밀억제권역 외에도 개발제한구역, 군사시설보호구역 등 중첩규제로 산업기반이 부재해 과밀억제권역 규제가 경제성장을 막고 베드타운화를 고착시키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비판이 많다.




과밀억제권역은 공장총량제로 추가적인 공업지역 물량 확보가 불가능한데 고양시는 과밀억제권역 중에서도 기존 보유한 공업지역 물량이 현저히 적어 자족기능 확보에 더욱 난항을 겪는 실정이다.


고양특례시 연도별 재정자립도

▲고양특례시 연도별 재정자립도. 제공=고양특례시

2024년 7월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국회토론회

▲2024년 7월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국회토론회. 제공=고양특례시

◆ 경기남부 수원-성남 공업물량 고양 10배 이상

고양시는 이런 현실을 타파하고자 작년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공업지역 규제개선방안 연구용역을 진행했다. 올해 초 마무리된 연구용역에선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공업지역 실태를 조사하고 국내외 규제개선 사례 시사점과 규제효과를 분석해 공업지역 규제개선방안을 마련했다.


공업지역 실태 조사에 따르면, 현재 고양시 공업지역 물량은 일산테크노밸리 10만㎡로 과거에 배정된 물량을 더하면 16만6000㎡다. 경기남부에 위치한 수원이나 성남은 같은 과밀억제권역인데도 공업물량이 각각 411만3000㎡, 174만4000㎡로 고양시 10~40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경기북부는 휴전선에 가까운 지리적 위치 때문에 산업기반시설이 부족해 경기남부에 비해 낮은 경제지표를 보이고 있다. 고양시는 인구 108만의 경기북부 대표도시인데도 재정자립도는 지난 10년간 꾸준히 하락세다. 2014년 재정자립도는 47.76%로 경기도 평균보다 높았지만 올해 재정자립도는 33.7%로전국 평균인 43.31%보다도 10% 가량 낮다.


지역 경제력을 가늠하는 지역내총생산(GRDP) 증가율도 경기도 31개 시-군 중 18위, 1인당 GRDP 증가율은 22위에 머물렀다. 2021년 고양시 1인당 GRDP는 2114만원, 31개 시-군 중 26위로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규제완화 TF위원회 발대식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규제완화 TF위원회 발대식. 제공=고양특례시

고양특례시 3기 창릉신도시 부지 전경

▲고양특례시 3기 창릉신도시 부지 전경. 제공=고양특례시

◆ 권역 조정-행위제한 완화 등 법률 개정 건의

고양시는 지난달 열린 과밀억제권역 국회토론회에서 연구용역 결과를 발표하고 11개 지자체와 함께 TF위원회를 발족했다. 연구용역을 토대로 마련한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공업지역 규제개선방안은 향후 법률 개정안에 담아 TF위원회가 공동 발의할 계획이다. 과밀억제권역 개선방안은 크게 수정법상 권역 조정과 과밀억제권역 행위제한 완화 두 가지다.


우선 수정법 입법 취지와 달리 과도한 인구에 비해 산업기반시설 입지가 불가능한 권역 설정 불합리성을 들어 고양시 관내 개발제한구역을 제외한 지역을 성장관리권역으로 조정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현재 고양시-서울시와 접한 양주시와 김포시는 성장관리권역으로 설정돼 있다. 고양시도 일부 지역을 성장관리권역으로 조정하면 수도권 서북부라는 지리적 이점과 광역교통망 등을 연계해 수도권 균형발전 토대가 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서울특별시-광역시-도별로 공업지역 대체 지정이 가능한 현행 수정법을 서울특별시-광역시-도 간으로 개정한다면 공업지역 물량 재배정을 통해 시-도 간 현황에 부합하는 효율적인 용도지역제 운영으로 수도권 상생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3기 창릉신도시를 조성할 때 직주분리와 장시간 통근문제 심화를 막고 자족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공공주택지구 지정 시 도시지원시설 용지 내 신규 공업지역 지정을 허용하자는 안도 검토됐다. 또한 8월 국토계획법 개정에 따라 도시혁신구역 지정 시 산업기능 강화가 필요할 경우 공업지역으로 지정해 직주락이 연계된 도심복합공간을 조성하는 개정안도 함께 반영할 계획이다.



강근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