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수소’는 헛된 희망?…소비자 외면에 프로젝트 무산 위기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8.13 12:03
Climate Change Extremes Impacts Solutions

▲수소 저장 시설(사진=AP/연합)

재생에너지로 생산되는 그린수소가 탄소중립 시대에 각광받으면서 세계 각국이 이를 생산하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지만 이에 대한 기대가 지나치다는 관측은 여전하다. 특히 생산된 그린수소를 사겠다는 구매자들이 거의 전무하다는 분석이 나오자 프로젝트들이 아예 무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3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세계 각국이 그린수소를 생산하기 위해 약 1600개에 달하는 생산시설을 구축할 계획을 발표한 상태다. 그러나 대부분의 생산시설에서 그린수소를 구매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고객은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북·남미에서 진행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 중 구매자가 아예 없는 비중은 79%로 집계됐다.



세계 최대 재생에너지 시장을 구축한 중국에서는 370개의 그린수소 프로젝트가 진행중이지만 이중 90%는 구매자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도 이와 비슷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고 일본에서는 구매자가 아예 없다.


강력한 친환경 규제를 도입하는 유럽, 그리고 중동지역과 아프리카에서도 프로젝트 88% 가량이 구매자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심지어 일종의 그린수소 구매계약이 체결됐다 하더라도 대부분의 계약은 모호하고 구속력이 없어 구매자들이 떠날 경우 자연스럽게 폐기될 가능성이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이에 따라 '수소의 사우디아라비아'를 꿈꾸는 세계 각국이 추진 중인 그린수소 프로젝트들이 아예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블룸버그 산하 에너지조사기관 블룸버그NEF(BNEF)의 마틴 탱글러 애널리스트는 “제정신인 프로젝트 개발자들은 바이어 없이 수소생산을 시작하지 않을 것"이라며 “제정신인 은행들도 누군가 수소를 구매할 것이란 합리적인 확신없이 프로젝트 개발자에게 자금을 조달하지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태양광이나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로 물로 전기분해해 만든 그린수소는 생산과정에서 탄소배출이 없어 궁극의 청정에너지원으로도 불린다. 특히 철강, 해상운송, 항공 등의 분야에서의 탈탄소는 그린수소가 필수격이다.


이에 유럽연합(EU)은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1000만톤의 그린수소를 생산하고 1000만톤을 수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조 바이든 행정부는 80달러를 투입해 미국 전역에 청정수소 허브를 개발하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그럼에도 그린수소가 외면받는 이유는 화석연료 기반의 수소보다 생산단가가 높기 때문이다. BNEF에 따르면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생산되는 수소의 가격은 천연가스로 생산되는 수소의 4배에 달한다.


천연가스나 석유와 달리 글로벌 공급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점도 그린수소가 외면받는 또다른 원인으로 꼽힌다.


미국 그린수소 생산업체인 하이 스토 에너지의 로라 루스 최고경영자(CEO)는 “대규모 개발 측면에서 그린수소는 다른 에너지원들과 다를 바 없다"며 “천연가스 수송 파이프라인은 고객 없이 구축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업계에서는 그린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해 산업 생태계가 국소적으로 구축되어야 한다고 진단한다.


전해조 제조기업인 티센크루프의 베르너 포닉바 CEO는 청정에너지원 바로 옆에 생산시설을 구축하고 인접한 고객들에게만 공급하는 생태계를 갖춘 그린수소 프로젝트들만 성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