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원자력발전과 수소에 집중하겠다느 입장을 밝혔다.
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최 차관은 인터뷰에서 탄소중립 달성과 관련해 “세계 각국이 직면한 어려움은 다양한데 한국의 경우 재생에너지에만 의존한다고 해서 아무 소용이 없다고 본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 차관은 이어 “지리적 문제로 풍력과 태양광 등 간헐적 발전원을 전국에 배치하는 것이 그동안 어려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2030년 21.6%, 2038년 32.9%로 현재 수준 대비 각각 2배, 3배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목표가 달성되어도 차지하는 발전비중은 전체 대비 3분의 1 미만인 만큼 윤석열 정부는 원전과 혼소(석탄과 수소 혼합 연소)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다만 혼소 발전은 비용이 높은 반면 효율성이 낮고 온실가스를 여전히 배출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수소 또한 아직까지는 대규모로 보급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
이와 관련해 최 차관은 “반도체와 같은 에너지 집약적 산업에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필요하다"며 “최선의 계획을 마련하기 위해 절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수소발전은 유연성을 제공하고 간헐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며 “원전, 수소 등 청정에너지를 수용하는 것이 넷제로(탄소중립)을 달성하는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전력 수요 증가를 화석연료로 충당할 수 없고 재생에너지만 의존할 수 없어 원전과 수소발전에 집중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블룸버그는 “한국의 배출량 감축은 전 세계에서 뒤처져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하며 최근 헌법재판소에서 탄소중립기본법 헌법 불일치 판결이 내려진 점을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