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의 새로운 도전] 중소형 증권사, 내실 다지기 본격화…리스크 해소에 총력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9.18 13:00

부동산 PF 리스크 해소 위한 충당금 적립 확대
중대형·중소형 증권사, 2024년 2분기 실적 급감
대형사와 대비되는 실적 악화…내실 강화 집중



여의도 증권가

▲국내 증권사들이 오는 16일부터 미국주식 주간거래 서비스를 일시 중단하기로 했다. 여의도 증권가 모습. 에너지경제DB

대형 증권사를 제외하면 올해 중소형 증권사들은 성장보다는 내실 다지기에 방점이 찍힌 모습이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에서 발생한 누적 위험이 현실화됨에 따라, 이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초대형 투자은행(IB)이나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로의 진입은 CEO나 오너의 의지에 크게 좌우되는데, 대신증권의 자본확충과 우리투자증권 설립 당시 목표를 제외하면 특별한 계획이 발표되지 않았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대형사를 제외한 중대형사나 중소형 증권사들의 합계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모두 감소했다.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키움증권 등 총 9곳의 종합금융투자사업자가 대형사로 분류됐다. 그 뒤로 대신증권, 유안타증권, BNK투자증권 등 자기자본 1조원 이상을 중대형 증권사로, 그 이하의 자기자본을 보유한 SK증권, 한양증권 등을 중소형 증권사로 분류했다.


지난 2분기 중대형 증권사의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각각 575억, 283억을 기록하며, 전분기 2803억원과 2999억과 비교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상품 운용 수지 급감과 투자은행 부문의 위축으로 영업순수익은 전분기 대비 23% 줄어들었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성 평가 결과를 반영한 충당금 적립액이 52% 증가한 것도 실적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중소형 증권사의 사정은 더욱 나쁘다. 지난 2분기 중소형 증권사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78억 원, -162억 원으로 전분기와 달리 적자 전환됐다.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결과를 반영한 충당금 적립액이 160% 급증한 것이 뼈아팠다. 반면 대형사는 1조 9169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 2분기째 조 단위 흑자 행진을 이어가며 지난해 4분기 4273억원 적자 쇼크에서 완전히 벗어난 모습이다.


중대형, 중소형 증권사는 추가 위험 가능성도 있다. 12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 상반기 중대형과 중소형 증권사의 요주의이하 자산은 5조2460억원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2조9329억원과 비교할 때 2조3000억원가량 증가한 것이다. 충당금은 늘었지만, 이를 고려하더라도 자기자본 대비 순 요주의 이하 자산 비율은 17.3%로 전년 동기 10.3% 대비 7%포인트, 전분기 대비 1.1%포인트 증가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중대형, 중소형사들은 올 3분기에도 실적이 개선되기는 어려운 분위기"라고 진단했다.


이에 국내 중소형 증권사들은 적자에서 벗어나기 위해 내실 다지기에 집중하고 있다. 성장을 천명한 곳은 우리투자증권이 유일하다. 우리투자증권은 지난 8월 출범하며 5년 내 자기자본 3조 원을 달성해 종합금융투자사업자 라이선스를 확보하고, 10년 내 초대형 IB로 도약하겠다고 발표했다.




또한, 교보증권과 대신증권도 종투사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 교보증권은 지난해 8월 모회사인 교보생명으로부터 2500억의 유상증자를 지원받아 자기자본을 늘렸으며, 대신증권은 3월 상환전환우선주(RCPS) 발행을 통해 3조853억원의 자기자본을 달성했다.


증권사는 성장은 오너나 지주사의 의지가 상당히 반영된다. 보수적인 지방 지주사에 증권사 출신으로 회장이 됐던 김지완 전 BNK금융지주 회장이 대표적이다. 그가 재임하기 전 자기자본 2000억원 수준이었던 BNK투자증권은 이후 자기자본을 꾸준히 늘리며 그가 퇴임하던 2022년 말 1조원을 넘겼다.


증권업게 관계자는 “대신증권이나 교보증권처럼 자기자본을 확충하기 위해선 리더십 그룹의 의지가 중요하다"라면서 “대부분 중대형사의 경우, 특별한 움직임도 보이지 않고 있으며 당분간 내실 다지기에 주력할 것 같다"고 말했다.



박기범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