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지속, 해외 부동산 시장 개선 지연 등의 영향으로 국내 금융사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금액이 전분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오피스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투자자산의 부실화 가능성은 확대되고 있다.
19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금융회사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올해 3월 말 기준 57조원으로 전분기 대비 6000억원 감소했다.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금융권 총자산(6985조5000억원)의 0.8% 수준이다. 금감원은 “고금리 지속, 미국·유럽 등 해외 부동산 시장 개선 지연 등으로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금액은 전분기 대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금융권별로 보면 보험이 31조3000억원(55.0%)으로 가장 많고, 은행 12조원(21.0%), 증권 7조8000억원(13.8%), 상호금융 3조7000억원(6.4%), 여전 2조1000억원(3.7%), 저축은행 1000억원(0.1%)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36조1000억원(63.4%)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유럽 10조2000억원(17.8%), 아시아 3조9000억원(6.9%) 순이었다. 기타 및 복수지역은 6조7000억원(11.8%) 규모다.
올해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는 6조8000억원으로 전체의 11.9%를 차지했다. 2030년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대체투자는 44조1000억원으로 77.4% 수준이었다.
문제는 국내 금융회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4조5000억원 가운데 2조5000억원(7.27%)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기한이익상실은 이자 및 원금 미지급이나 담보 가치 부족 등으로 대출금을 만기 전에 회수하는 것을 뜻한다.
1분기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한 사업장 규모는 전분기인 작년 말보다 900억원 늘었다. 작년 4분기 증가폭(1000억원)과 유사하나, 재택근무 등으로 오피스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진 점을 고려할 때 투자자산 부실화 가능성이 확대될 우려가 있다고 금감원은 진단했다.
금감원은 “해외 부동산 투자규모가 총자산 대비 1% 미만이고, (국내 금융회사의) 양호한 자본비율 등 손실흡수능력 감안시 투자손실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EOD 등 특이동향 사업장에 대한 처리현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금융회사의 적정 손실인식과 손실흡수능력 제고를 유도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금융회사의 철저한 리스크 관리 및 내부통제 등 건전한 투자관행이 정착될 수 있도록 업무 프로세스 전반에 대한 점검,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