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자동차 비수기’에도 또 다시 ‘역대 최대 매출’ 찍었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10.24 15:23

3분기 매출액 42조9283억원 101만대 판매

영업익은 3조5809억원, 전년비 6.5% 감소

하이브리드차 등 고부가가치 차량 판매↑

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 발생에 영업익 줄어

“내부혁신 통해 원가 절감·위기 대응 전념”

현대차그룹 사옥. 사진=이찬우 기자

▲현대차그룹 사옥. 사진=이찬우 기자

현대자동차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하이브리드차 '고부가가치 차량' 판매 호조로 인해 3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올렸다. 반면 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 증가로 영업익은 감소했다. 이에 현대차는 '내부혁신'을 통한 원가절감을 통해 영업이익 회복에 나설 것임을 밝혔다.




현대자동차는 24일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컨콜)을 통해 3분기 실적이 판매 101만1808대, 연결 기준 매출액 42조9283억원, 영업이익 3조5809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4.7% 증가, 6.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현대차는 “매출액은 하이브리드, 제네시스를 포함한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 판매 확대, 우호적인 환율 환경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어 “영업이익은 북미 지역 선제적 보증 연장 조치에 따른 충당금이 반영돼 전년 동기비 소폭 감소했다"며 “이를 제외하면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꾸준한 체질 개선 노력으로 견고한 기초체력을 갖춰 대응하고 있다"며 “치밀한 내부혁신으로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매년 3분기는 '자동차 비수기'라 불린다. 휴가, 연휴기간과 겹쳐 생산량이 다른 분기 대비 저조하고 신차 구매도 감소하기 때문이다. 현대차의 3분기 판매 대수만 살펴봐도 2분기 대비 4.2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이번 3분기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도 3.2% 감소했다.


판매대수 감소에도 현대차는 3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액을 기록했다. SUV, 하이브리드차 등 단가가 높은 모델 판매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둔화)'가 장기화되면서 하이브리드차의 판매가 늘어난 것이 큰 몫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차는 “국내 시장에서는 공장 하계 휴가, 추석 연휴 물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SUV와 하이브리드 차량의 판매가 전년 동기대비 1.8% 증가했다"며 “해외 시장에서는 신형 싼타페, 투싼 페이스리프트의 인기에 힘입어 북미 지역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9.3%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대수는 하이브리드 라인업 강화와 북미 지역 투싼 하이브리드 판매 확대로 전년 대비 19.5%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환율 상승도 매출에 긍정적 효과를 미쳤다. 3분기 원·달러 평균 환율은 전년 동기 대비 3.7% 상승한 1359.4원을 기록했다.


반면 인건비 등 비용이 증가한 탓에 영업이익은 감소했다. 현대차에 따르면 매출액 대비 판매 관리비 비율은 전년 동기보다 0.2%포인트 오른 11.5%로 집계됐다.


뿐만 아니라 노사 임금단체협약(임단협)서 발생한 비용도 영업이익 하락에 영향을 끼쳤다. 현대차 컨콜에 따르면 올해 임단협 타결이 7월에 이뤄지면서 이때 발생한 4000억원의 기타비용이 3분기 실적에 반영됐다.


현대차는 영업이익률 회복을 위해 '원가절감'에 전념할 방침이다. 우선 미래 제품 트렌드, 수익성, 효율적인 제조 및 부품 조달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제품 전 라이프 사이클에 걸쳐 비효율적이고 낭비적인 요소를 적극적으로 제거할 계획이다.


또 전기차 분야에서도 핵심 부품 원가 개선에 나서고 다양한 배터리 타입을 탑재해 가격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고 전했다.


현대차는 컨콜을 통해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원가절감 중장기 계획을 추진중"이라며 “임금인상으로 인해 가공비 등은 다소 오를 수 있지만 재료비가 더 비중이 높기 떄문에 원가 절감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재료비 인상 추세에 대해선 선물환 등 선제적 대응을 통해 충격을 완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향후 전망과 계획에 대해선 “주요 시장의 성장률 둔화와 환율하락, 금리인하 등 매크로 불확실성 증대와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등으로 비우호적 경영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며 “내부적으로 부문별 대응책을 마련해 체계적으로 실행하겠다"고 말했다.



이찬우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