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전략세미나] “배출규제 강화로 청정수소 시대 가속화 될 것”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11.01 16:45

에너지경제신문·인천관광공사 ‘신재생 정책과 사업화 세미나’ 개최

청정수소 생산 시 대안경로보다 감축효과 있어야, 바이오가스 이용 제한

청정수소발전량 2027년 3500GWh, 이후 혼소율 확대로 6500GWh 예정

수소연료전지 LNG 배관망 및 탱크로리 활용, 제로에너지건축물 활용 가능

1일 에너지경제신문과 인천관광공사 공동 주최로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신재생에너지정책과 신비즈니스 사업화 전략 세미나'가 진행되고 있다.

▲1일 에너지경제신문과 인천관광공사 공동 주최로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신재생에너지정책과 신비즈니스 사업화 전략 세미나'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유병욱 기자

전력망의 탈탄소화, 국제 해운부문의 배출 규제, 저탄소 천연가스 규제 등 수소 밸류체인과 연관된 분야의 제도가 계속 발전되고 있어 청정수소 시대가 더욱 가속화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혜진 에너지경제연구원 청정수소인증연구 실장은 1일 본지와 인천관광공사 공동 주최로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신재생에너지정책과 신비즈니스 사업화 전략 세미나'에서 이 같이 말하며 “유럽, 미국 등이 주도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른 새로운 무역장벽은 우리 스스로 제품의 정확한 탄소함량을 측정하고, 전략 구축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국가 주도의 청정수소 인증제 추진 당위성을 더욱 공고히 해준다"고 밝혔다.


이 실장은 수소가 이차에너지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청정수소 인증제 설계방향은 대안 경로와 비교를 통해 기존 대비 추가적인 온실가스 감축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자원 활용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강조했다.



즉, 바이오가스로 청정수소를 생산하는 모델의 경우 청정수소 인정이 제한된다는 뜻이다. 바이오가스 자체가 탄소중립에 가까운 에너지인데, 굳이 이것을 추가 설비를 통해 수소화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청정수소 인증업무를 맡고 있다. 우리나라 청정수소 조건은 수소 1㎏ 생산에 탄소 4㎏ 이하로 생산돼야 하며, 배출량 산정 구간은 웰 투 게이트(원료채굴부터 수소생산까지)이다. 다른 나라의 청정수소 탄소 허용기준은 영국 2.4㎏, 독일 3㎏, 프랑스 3.38㎏, 일본 3.4㎏, 미국 4㎏, 유럽연합 3.38~4.4㎏이다.




이 실장은 “우리나라는 주로 청정수소를 수입해야 하는 상황에서 다른 나라 기준의 수용성을 감안해 4㎏ 기준으로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김권 전력거래소 수소정책부장은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 설계방향' 발표를 통해 “세계 최초로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을 개설했다"며 “이달 초까지 입찰제안서 접수를 마감하고, 11월 말 우선협상대상자 발표, 12월 초 낙찰자 발표, 12월 말에 계약 체결을 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2027년부터 가동 예정인 청정수소발전량은 첫해 3500GWh이지만, 2028년 이후로는 혼소율 확대를 통해 6500GWh로 늘어날 예정이다.


청정수소발전은 준공이 지연되면 그에 따른 페널티가 부여된다. 지연준공이 12개월 미만 시에는 거래기간 15년(180개월)과 정산금액이 고정계약가격으로 유지된다. 하지만 12개월 이상 24개월 미만(M개월) 시 거래기간은 그대로이나 정산금액은 M-12개월, 180-(M-12)개월이 된다. 24개월 이상(N개월)이면 거래기간은 180-(N-12)개월이 되고, 정산금액은 고정계약가격이 유지된다.


김정숙 수소연료전지산업협회 사무국장은 '분산에너지와 수소연료진저 비즈모델' 발표를 통해 “수소연료전지는 전력 수요지 인근에 설치해 송전탑이 필요 없고, 24시간 365일 안정적으로 가동이 가능하며, 유연성 자원으로서 출력제어도 가능하다"며 최고의 분산에너지원이라고 설명했다.


최대출력 100MW 발전원을 기준으로 하면 가스터빈과 석탄화력은 기동시간이 각각 4시간, 13시간이지만,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와 인산형연료전지(PAFC)는 3초에서 2시간이면 가능하다.


김 사무국장은 이러한 강점을 통한 수소연료전지 비즈모델로 △액화천연가스(LNG) 인수기지 배관망을 활용한 융복합단지 구성 △LNG 탱크로리를 활용한 데이터센터 구성 △연료전지 생산 전기 직접판매사업 △제로에너지건축물의 설치 등을 제시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박성우 에너지공단 RPS사업실 팀장의 신재생공급의무화(RPS)시장 현황과 발전방향 △김근호 에너지공단 분산에너지실 팀장의 분산에너지특화지역 차별화 전략과 비즈니스 모델 △박강훈 에너지공단 신재생정책실 정책총괄팀장의 해상풍력 입찰 로드맵과 비즈니스 창출 방안 △전영환 홍익대 전기공학과 교수의 RE100 달성을 위한 에너지시장구조 합리적 개편 방안 등도 발표됐다.



윤병효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