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發 통상압박에 철강업계 ‘비상’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11.24 09:11

美, 한국산 철강 수입쿼터 추가 축소 가능성
中 수출공세까지 겹쳐 이중고 우려 커져

미국 청정경제법(CCA)가 제정될 시 철강 등 한국의 제조업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

▲미국 청정경제법(CCA)가 제정될 시 철강 등 한국의 제조업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

한국 철강업계가 미국의 대중국 견제 강화와 중국의 수출공세 사이에서 심각한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이 최근 정부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어설 경우 한국 철강산업에 대한 수입규제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경기 침체와 중국발 공급 과잉으로 이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철강업계가 미중 갈등 속에서 더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미국은 이미 2018년부터 국가안보를 이유로 한국산 철강 수입량을 연평균 383만t의 70% 수준인 250만t으로 제한해왔다. 실제로 미국의 한국산 강재 수입량은 2015년 440만t, 2016년 350만t, 2017년 340만t에서 2018년 250만t으로 급감했고, 올해까지도 이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무역적자 해소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보편관세를 도입하면서 수출쿼터를 더 줄일 경우, 미국의 4대 강재 수입국인 한국의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대제철 서강현 사장은 “미국 현지 투자와 수요 증가를 어필해 현재 쿼터라도 유지할 수 있도록 정부에 요청할 계획"이라며 “현대차의 미국 신공장 건설로 철강 수요가 늘고 있는 점을 강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계철강협회(Worldsteel)는 2024년 글로벌 철강 수요가 0.9% 감소한 17억5100만 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5년에는 1.2% 반등하여 17억72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나, 전반적인 시장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로이토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 10월 중국의 철강 수출량은 1118만 톤으로 전월 대비 10.1%, 전년 동기 대비 40.8% 증가하며 9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내 철강 시장은 2023년 약 5362만 톤 규모를 형성했으며, 향후 10년간 연평균 1.30%의 완만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조선업계의 견실한 수요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과 자동차 부문의 침체로 인해 성장 잠재력이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트럼프 후보가 공약한 '보편관세'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현재 평균 3% 수준인 관세가 10-20%로 인상될 수 있어 수출 여건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


여기에 멕시코와 베트남 등에 대한 무역장벽 강화도 우려된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이들 국가를 중국산 제품의 우회기지로 판단할 경우, 국내 기업의 해외 생산기지들이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 포스코멕시코는 미국 자동차사에 납품하는 아연도강판에 한국산 냉연 소재를 사용하고 있어 USMCA 조강 기준 미달 시 관세를 물어야 한다. 현재도 미국은 USMCA 회원국인 멕시코산 제품의 유입을 강력히 차단하고 있으며, 포스코베트남에 대해서도 한국산 철강의 우회 덤핑 조사를 진행 중이다.




한편 중국의 공격적인 수출전략도 부담이다. 미중 관세전쟁으로 경제성장률 하락을 우려하는 중국 철강업계는 수출 확대에 나서고 있다. 보무철강은 “내수 부진 타개를 위해 올해 600만t인 수출을 1000만t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국의 중국산 철강 수입은 2020년 600만t에서 올해 1~9월에만 900만t을 기록했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은 “중국의 강재 수출이 지속적으로 1억t을 웃돌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과 동남아 중심의 수출 구조가 이어질 것"이라며 “한국은 최소한의 보호조치만 취하고 있어 중국산 수입이 1000만t에 육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화석연료 중심 에너지 정책은 기회가 될 수 있다. 석유가스 채굴·수송 프로젝트와 육상 LNG 시장, 건설기계용 중장비 시장 등에서 고부가가치 특수강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은 “미국이 규제 완화로 자국 내 화석연료 생산을 확대할 것"이라며 “이에 따른 새로운 철강재 시장 창출 기회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러한 대내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친환경 철강 생산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고부가가치 특수강 제품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미국의 화석연료 중심 에너지 정책에 따른 특수강 수요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새로운 기회를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업계 관계자는 “친환경·고부가가치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와 함께, 주요 수출국의 통상정책 변화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강현창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