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석유소비 증가량 감소세, 전기차·재생에너지 보급 영향
미국 석유소비 증가세로 U턴, 금리인하로 제조·운송 수요 증가
美 트럼프 집권 시 파리협정 탈퇴…“유럽연합과 중국 손 잡을 것”
G2인 미국과 중국의 탄소중립 노력이 엇갈리고 있다. 중국은 전기차 및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영향으로 석유소비 증가율이 점차 줄고 있는 반면, 미국은 제조업 가동률 향상으로 석유소비 증가율이 감소에서 증가로 돌아서고 있다. 내년 1월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하는 트럼프는 화석연료 규제 완화를 시사해 미국의 석유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7일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의 11월 단기에너지전망에 따르면 내년 세계 석유소비 증가량은 하루당 120만배럴로 둔화될 전망이다. 이는 올해의 100만배럴보다는 높지만 코로나19 이전의 150만배럴보다는 적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세계 석유소비량은 하루 기준으로 올해 평균 1억313만배럴에서 내년 1억435만배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석유소비 증가세가 둔화된 가장 큰 이유로 중국의 소비 저조가 꼽히고 있다.
중국은 코로나19 이전 7년 동안 연평균 석유소비 증가량이 하루당 60만배럴이었다. 코로나19 이후 2022년 대비 2023년 증가량은 160만배럴에 이르렀다.
하지만 올해 증가량은 10만배럴, 내년 증가량은 30만배럴에 그칠 것으로 에너지정보청은 관측했다. 전기차와 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가 원인으로 꼽힌다.
중국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CPCA)에 따르면 중국의 신차 가운데 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 포함) 비중은 2021년 14.8%, 2022년 27.6%, 2023년 35.7%이며, 올해 7월에는 처음으로 절반을 넘은 51.1%를 기록했다.
에너지경제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중국의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은 1500GW로 총 설비용량의 51.9%를 차지했으며, 발전량은 2950TWh로 32%를 차지했다.
에너지정보청은 “올해 8월 중국의 가솔린 소비량은 하루당 320만배럴로 전년 동월보다 14% 감소했고, 앞으로도 추세는 이어질 것"이라며 “중국의 올해와 내년 석유소비 증가는 수송연료가 아닌 주로 석유화학 원료에 의해 주도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미국의 석유소비는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정보청에 따르면 올해 미국의 석유소비량은 전년보다 2% 감소한 하루당 380만배럴로 예상되며, 내년에는 올해보다 약 4% 증가한 하루당 400만배럴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정보청은 “미국 연방 기금 금리 인하로 내년 산업 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제조업계와 운송용 석유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특히 내년 1월 정식 취임하는 트럼프 차기 대통령은 화석연료에 대한 규제 완화를 시사하면서 전기차 보급 속도가 느려짐에 따라 그만큼 수송 연료 소비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차기 대통령은 미국을 파리기후협정에서 재탈퇴시키겠다는 공약도 했다. 그는 1기 임기(2017~2021) 때도 공약대로 미국을 파리협정에서 탈퇴시킨 바 있다. 미국이 파리협정에서 탈퇴한다면 유럽연합과 중국의 탄소중립 협력이 강화되면서 상대적으로 미국의 청정경제 지위는 크게 약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환경과장은 지난 22일 국회 토론회에서 “탄소중립 열차는 이미 출발했고 여기에는 주요 플레이어들이 모두 탑승했다"며 “미국이 친화석연료로 가면 트럼프 1기때와 마찬가지로 유럽연합과 중국이 손을 잡는 구조가 만들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