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 LP 달래기에 업계 ‘노심초사’
계엄 사태에 흔들린 글로벌 투자 신뢰도
“정치적 불확실성 제거 없이는 회복 안돼”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3일 밤 비상계엄을 선포한 가운데 4일 자정께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본관으로 계엄군이 진입 준비를 하고 있는 모습.
#사모펀드 운용사의 김 모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을 선언한 3일 오후 10시부터 다음날까지 한숨도 자지 못했다. 글로벌 투자자(이하 LP)들이 자금을 빼겠다고 아우성쳤기 때문이다. 그는 유럽 자본으로부터 많은 투자를 받았다. 다행히 얼마 지나지 않아 국회의원들이 국회로 도착했다는 소식이 알려졌고, 4일 새벽 1시경 긴급 본회의를 통해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가결되며 투자자들의 우려는 잦아들었다. 하지만, 그는 매일 투자 실적이 아닌 국내 정치 자료를 고객들에게 배포하고 있다.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는 것은 국내 증시만이 아니었다. 사모펀드에 투자한 외국인 자금도 마찬가지였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연기금으로부터 자금을 받게 된다면 많은 금액을 받을 수 있지만, 여러 외부 변수가 일어날 경우, 예상치 못한 요구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PEF(Private Equity Fund)는 2004년 제도 도입 이후 2023년 말 기준 결성규모 136조 4000억원의 주요 투자기구로 성장했다. 크게 성장한 만큼 글로벌 자금 유치도 활발해졌다.
글로벌 자금들은 불확실성이 있을 때 국내에서 자금을 빠르게 뺀다. 이는 자금의 속성에 기인한다. 자금은 인간과 달리 이동에 큰 제약이 없다. 불확실한 곳을 떠나 확실하고, 예상 가능한 곳으로 떠나갈 수 있다.
이는 국내 증시에서도 잘 나타난다. 비상 계엄 이후 외국인들은 코스피 시장에서 △4일 1조4000억원 △5일 9000억원 △6일 6000억원을 팔았다.
연중무휴로 운영되는 가상자산 시장은 한층 더 심한 변동을 겪었다. 3일 밤, 국내 크립토 거래소들에서 비트코인 가격이 순간적으로 30%를 상회하는 낙폭을 보였다. 이와 함께 다른 주요 알트코인들도 10%가 넘는 하락세에 동참했다. 과열 징후를 보이던 시장에 예기치 못한 계엄 발표가 더해지며 대규모 투매로 이어졌다.
비트코인은 22시 55분 1억원 아래로 추락했고, 57분에는 8826만6000원까지 떨어졌다가 이내 1억원대를 되찾았다. 다음날 0시를 기점으로 1억3000만원대에서 거래되며 안정을 되찾았다.
PE들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그들이 자금 유치 과정에서 제시한 시나리오에는 급격한 정치적 불안이 언급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는 “투자 유치를 하는 과정에서 회사의 성장 방안, 수익률, 시나리오 등을 제시한다"면서 “하지만, 어떤 PE들도 계엄령을 가정하고 시나리오를 설명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자금 유출의 해결책은 빠른 국내 정치 안정밖에 없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현재 금융당국을 중심으로 시장을 안정시키려 노력하지만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또 다른 투자은행(IB)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메시지는 외국인들의 자금 이탈 속도를 줄이는 효과는 있겠지만 본질적인 해결책은 아니다"라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는 해소되어야 글로벌 자금들도 예전처럼 한국에 투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