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 비상대응체계 가동
리스크 전이 방지 ‘총력 대응’
‘대외신인도 유지 및 영향 최소화’
글로벌 네트워크 총동원
원화·외화유동성 관리 강화
고객 투자자산 보호 ‘만전’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표결이 불발되면서 정국 혼란이 장기화되자 금융지주사들도 연일 비상 대응 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금융지주사들은 우리나라의 대외신인도 유지를 위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해외 투자자들과 소통을 강화하는 한편, 소상공인을 포함한 금융 취약계층이 경영상 어려움에 빠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방안도 다각도로 검토 중이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지주는 현재 금융시장 안정화를 위해 비상 대응 체계를 가동 중이다. 계열사 유동성, 금융시장 동향을 모니터링하면서 철저히 관리 중이다.
특히 KB금융은 이번 사태가 장기적으로 경제 정책의 추진 동력 약화, 기업들의 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 방안도 다각도로 검토 중이다. KB금융 측은 “만기연장 저금리 대출 지원 등 민생 금융 안정 프로그램을 통해 실질적으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고객 불안을 해소하고자 상담, 커뮤니케이션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사태로 대외 신인도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글로벌 네트워크도 활용 중이다. KB금융 주요 계열사인 KB국민은행은 캄보디아에서 캄보디아 중앙은행(NBC) 감독국장과 본국 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이슈 발생에 대해 지속적으로 소통하기로 했다. 싱가포르에서는 싱가포르통화청(MAS)의 비상계엄령 선포, 영향도 질의에 적극 대응하는 한편, 주요 대출기관을 대상으로 현황 설명 서신을 발송했다.
신한금융지주도 대외신인도를 유지하고자 해외 투자자를 대상으로 컨퍼런스콜을 실시하는 등 실시간으로 소통해 투자자들의 우려 사항을 최소화하고 있다. 유동성 리스크를 포함한 리스크 전반에 대해 선제적으로 모니터링하며 그룹의 재무 펀더멘털의 안정성에 대해서도 적극 소통 중이다. 신한금융 측은 “경영환경 불확실성 대비 최악(Worst) 상황을 고려한 시나리오별 계획을 수립하고, 대응전략을 마련해 시장 충격에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나금융지주는 위기상황에 대비해 그룹 및 관계사의 자본비율, 유동성관리, 자산건전성 등 주요 모니터링 지표에 대해 더욱 세밀한 관리체계를 가동 중이다. 금융시장, 경제 산업 현황을 전방위적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해 작은 불씨가 전체 리스크로 전이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 이사회는 국내외 투자자들과 하나금융의 밸류업 계획, 펀더멘털 현황 등에 대해 긴밀하게 소통 중이다. 아울러 해외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대면, 비대면 미팅을 진행하는 한편, 대한민국 금융시스템의 회복력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소통할 방침이다.
우리금융지주는 원화유동성, 외화유동성,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고객 투자자산 보호에도 주력하고 있다. 주식의 경우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시장 불안은 잠잠해질 것으로 예상되나, 정치적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있어 당분간 변동성 확대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우리금융 측은 조언했다. 여기에 외국인 자금 이탈이 가속화되면 채권시장 금리도 상승할 것으로 우려된다.
이에 우리금융은 투자자산별 분석 자료와 시장 분석 자료를 늘려 투자자들에게 제공하고, 판매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등 사후관리에 힘쓰고 있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