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무디스·피치 “제도적 회복력 체감”, 최상목 부총리 신평사들과 면담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로 들어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무디스·피치 등 글로벌 신용평가사들이 비상계엄 사태 이후에도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은 여전히 안정적이라는 의견을 내놨다.
1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전날 정부서울청사에서 S&P, 무디스, 피치 등 글로벌 신용평가사 인사들과 만나 최근 정치 상황과 정부의 대응 방향을 설명했다.
자리에서 최 부총리는 “과거 두차례 대통령 탄핵 당시에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며 “한국의 모든 국가 시스템은 종전과 다름없이 정상 운영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 부총리는 “외국인 투자자 등이 안정적인 투자·경영활동을 해나가는 데 문제가 없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계엄과 탄핵 정국이라는 대내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의 펀드멘털이 안정적이며, 정부의 기능 역시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이에 신용평가사들은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은 여전히 안정적이라며 오히려 한국의 제도적 강인함과 회복력을 체감했다고 평가했다고 기재부는 전했다.
우선 S&P 측은 “최근 사태에도 국가 시스템이 잘 작동했다는 점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며 “금융당국의 신속한 시장 안정화 조치는 한국의 경제시스템이 얼마나 강건한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말했다.
무디스 측은 “한국경제 하방리스크가 현실화할 가능성은 없다는 점에 공감한다"며 “한국의 견고한 법치주의가 높은 국가신용등급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피치 측은 “한국 정부가 이번 사태에 대해 투명하게 설명하고자 노력하는 점을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전날 면담에는 로베르토 싸이폰-아레발로 S&P 국가신용등급 글로벌총괄, 마리 디론 무디스 국가신용등급 글로벌총괄, 제임스 롱스돈 피치 국가신용등급 글로벌총괄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