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애플·샤오미도 뛰어든 초슬림 스마트폰 경쟁… 배터리 용량·내구성·그립감이 숙제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12.19 15:32

기술력 상향 평준화에 샤오미·아너 등 중국 업체들도 가세

대체로 200g 넘어 손목 무리…시장선 가벼운 제품 소구↑

포스텍 연구원들, ‘인간 공학적 파지 자세 분석’ 연구 진행

갤럭시 Z 폴드6와 플립6를 겹쳐놓은 모습(좌)과 갤럭시 Z 폴드6와 슬림 모델 간의 두께 비교. 사진=박규빈 기자

▲갤럭시 Z 폴드6와 플립6를 겹쳐놓은 모습(좌)과 갤럭시 Z 폴드6와 슬림 모델 간의 두께 비교. 사진=박규빈 기자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의 품질이 상향 평준화됨에 따라 제조사들이 제품 두께 줄이기 경쟁에 나서고 있다. 이미 기존 제품에서 일부 기능을 제외하며 슬림 모델을 출시한 삼성전자는 내년 초 이에 입각한 신제품을 내놓을 전망이고, 애플 역시 마찬가지다. 중국 업체들도 이에 가세해 시장 내 경쟁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19일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삼성전자도 이에 질세라 '갤럭시 S25 슬림 모델'을 내놓을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매체들은 삼성전자가 우선 내년 1월에 갤럭시 언팩 행사를 통해 S25 시리즈 판촉에 나서고, 이어 2분기 중 초기 물량을 300만대로 설정한 슬림 모델을 출시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슬림'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지금껏 출시된 갤럭시 스마트폰 제품군 중 가장 얇은 제품이지 않겠느냐는 추측이 난무하지만 세부 정보는 확인된 바 없다.



디스플레이는 6.7인치 다이내믹 아몰레드 패널을 품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삼성전자는 올해 하반기 전략 제품인 갤럭시 Z 폴드6의 파생 모델인 '갤럭시 Z 폴드6 슬림'을 지난 10월에 내놨다. 디지타이저를 뺀 이 제품은 두께 10.6mm, 무게 236g으로 갤럭시 Z 폴드6보다 1.5mm 얇고 3g 가벼워졌다. 때문에 내년 중에도 슬림 모델을 내놓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아이폰 17 에어 예상 이미지. 사진=khaleejtimes

▲아이폰 17 에어 예상 이미지. 사진=khaleejtimes

제프 푸 홍콩 하이통 증권 연구원은 애플이 내년 중 6mm 두께의 '아이폰 17 에어'를 내놓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푸 연구원의 예상이 맞다면 이는 2014년 9월에 출시된 아이폰 6를 넘어 역대 아이폰 중 가장 얇은 제품으로 기록된다.




애플 전문 매체 맥 루머스는 “일부 소비자들은 차기작이 더 얇게 나오길 바랄 수 있지만 배터리나 다른 부품들을 감안하면 한계가 있다"며 “6mm로 나올 경우 이는 점점 부피가 커져온 모델들과 비교하면 인상적으로 얇고 가벼울 것"이라고 평가했다.


애플이 아이폰 신제품을 매년 9월에 선보였던 것을 감안하면 아이폰17 에어 역시 같은 때에 일반에 공개될 가능성이 크다. 일각에서는 홀수 세대 제품에서 대대적인 변화가 있어왔다는 점에서 기대를 걸고 있다.


아이폰 17 에어는 △A19 칩 △6.6인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4800만 화소 단일 후면 카메라·2400만 화소 전면 카메라를 갖출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자체 인공 지능(AI)인 '애플 인텔리전스' 기능 지원을 위해 램 용량이 8GB로 소폭 증가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샤오미는 두께 9.47㎜의 '믹스 폴드4'를 지난 7월에, 아너도 같은 달 '세계에서 가장 얇은 폴더블폰'(9.2mm)인 '매직 V3'를 시판하기 시작해 중국 업체들도 가세한 상황이다.


최근 나오는 스마트폰들은 기능이나 성능이 상향 평준화됐다. 그럼과 동시에 전반적으로 제품의 크기가 커져 무게도 200g대로 올라섰다. 이 같은 이유로 장시간 사용 시 손목에 무리가 갈 정도로 무거워져 물리적으로 가벼운 무게의 스마트폰에 대한 시장의 요구가 커져왔고, 제조사들이 제품 개발에 이를 반영하는 모양새다.


얇아진 제품을 통해 각 제조사들은 휴대성과 세련된 디자인을 강조해 기술력 과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협소한 공간 안에 배터리와 운영 체제를 무리 없이 장착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줘서다. 물리적 질량 자체가 줄어 차량 내 또는 촬영용 거치대 탈착이 편리해져 사용자 만족도 제고가 예상된다.


한편 두께가 얇아지는 만큼 포기해야 하는 부분도 분명 존재한다는 지적이다.


상식적으로 배터리 용량이 감소해 더욱 자주 충전해줘야 하는 일도 생겨나고, 내구성 저하가 우려된다. 공간 자체가 작고 좁다는 것은 방열 문제의 한계를 안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해 카메라 모듈과 스피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성능 열화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메모리 카드 트레이가 생략돼 용량 확장이 어려워질 수도 있다는 점도 문제다.


무엇보다 손에 쥐고 쓰는 제품인 만큼 그립감이 떨어질 수 있어 충분한 사용자 경험에 입각한 인체 공학적 디자인이 반영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16년 포스텍 산업경영공학과 연구진은 '인간 공학적 스마트폰 인터페이스 설계를 위한 파지 자세 분석'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이들은 “스마트폰 물리 키 사용에는 검지로 배면을 지지하며 움켜쥐는 자세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가로 길이가 긴 대형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움켜쥐기 위한 것으로 사료된다"고 말했다. 이어 “터치 스크린 사용에는 네 손가락으로 배면을 지지하는 자세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파악했다"며 “엄지 손가락의 조작 영역을 최대한 넓히기 위한 파지 자세라는 결론을 도출해냈다"고 부연했다.



박규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