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조원1482억원 회사채 만기 역대 2번째 규모
외국인 투자자 회사채 보유량 올해 57% 줄어
투자자금 이탈 가속화땐 ‘좀비기업’ 양산 우려
내년 79조원 이상의 대규모 회사채 만기가 도래하는 상황에서 최근 외국인 투자자의 시장 이탈로 기업들의 자금줄이 봉쇄되는 이른바 '돈맥경화' 위기가 우려된다. 내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을 앞둔 상황에서 연말 국내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 정국이 겹쳐 국내외 변수가 더욱 확대돼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설령 내년 유동성이 급격히 고갈되지 않아 회사채 차환 발행에 성공한다 하더라도 기업들의 위기가 끝나지 않는다. 현재 3%인 기준금리 영향으로 회사채 금융비용(이자) 부담이 몇 배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장 유동성 위기를 피할 수 있지만 대규모 이자 부담 탓에 수익성이 위축돼 한계 기업이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마저 나온다.
◇역대급 회사채 만기로 차환 발행 우려…돈맥경화 그림자
19일 재계와 산업권에 따르면 내년 회사채 만기 도래를 우려하는 기업이 적지 않다. 내년 만기 도래하는 회사채 규모가 역대 두 번째 규모인 79조1482억원으로 집계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83조9916억원에 비해서는 다소 줄었으나 2023년 70조120억원에 불과했음을 감안하면 2년 만에 13.05%(9조1362억원) 늘어난 수준이다.
통상 만기가 도래하면 새롭게 회사채를 발행해 만기 회사채를 상환하는 '차환'이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최근 채권시장에서 발행금리가 급등하고 수요 부진으로 미매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차환 발행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감안하면 올해보다 내년에 돈맥경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다.
이는 올해 하반기부터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회사채 시장 이탈과 연관이 있다.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회사채 보유 규모를 살펴보면 지난해 말 3120억원에 달했으나 지난달 말 1330억원으로 57.37%(1790억원) 줄었다. 특히 10월과 11월 각각 300억원과 110억원 보유 규모가 줄어드는 등 연말에 가까워지면서 국내 회사채 시장 이탈 흐름이 가속화되고 있다.
문제는 이달 초 발생한 비상계엄 사태와 그 이후의 탄핵 정국에 따른 혼란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이 더욱 이탈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외국인 투자자의 이탈이 더욱 가속화된다면 유동성이 줄어 국내 기업들의 자금 조달이 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실제 올해 하반기 화학·건설 등 업황 악화가 심각한 사업을 영위하는 대기업이 회사채 발행을 위해 수요 예측을 진행했으나 대규모 미매각이 발생하기도 했다. 지난 9월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AA 신용등급 이상에서 1건, A 신용등급에서 6건의 미매각이 발생해 미매각율 20.5%를 기록하기도 했다.
신용등급 A·AA 신용등급은 리스크가 매우 적은 상위권 기업에게만 책정되는 등급임에도 미매각을 피할 수 없었던 것이다. 산업권에서는 내년에는 이 같은 현상이 더욱 심해질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차환 발행하더라도 이자비용 부담…좀비기업 확산 공포도
외국인 투자자의 이탈이 급격하지 않아 유동성이 충분하다 하더라도 기업들이 마음을 놓을 수는 없다. 차환 발행 자체에는 문제가 없더라도 향후 대규모 이자를 지급해야하는 탓이다.
내년 만기 도래하는 회사채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저금리였던 2022년 발행한 3년물과 2020년 발행한 5년물의 물량이 적지 않다. 국내 기준금리는 2020년 0.5%였으며 2022년 상반기까지는 1.55%로 현재 3%보다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내년 차환 발행에 성공한다 하더라도 이자 부담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국내 재계에서는 내년 이른바 '좀비기업'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외부감사를 받는 전체 기업 2만8946개사 가운데 16.4%(4761개사)가 한계기업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인 2023년 말 15.5%보다 0.9%포인트(p) 늘어난 수준이다.
한계기업은 영업이익보다 이자비용이 더 많은 상태가 3년 연속 이어진 기업을 의미한다. 회사의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으로 이자도 제대로 내지 못하는 상태가 장기간 지속된 기업이라는 뜻이다. 내년 이자비용이 상승하게 된다면 이 같은 한계기업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다.
재계 관계자는 “내년에 시장 상황에 따라서 차환 발행을 하거나 보유한 현금으로 회사채 상환을 결정할 것"이라며 “차환을 못하면 자금이 크게 줄어들고 차환을 하더라도 수익성이 위축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고려할 것이 많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