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 발전이 이끄는 美 증시 상승세
-고평가 우려에도 견고한 성장세 전망
-트럼프 효과 누릴 규제완화 수혜 업종 주목
증권업계가 2025년 미국 증시에 대해 긍정적 전망을 내놓았다. 다수의 증권사들은 내년 미국 증시가 호조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으나, 2024년과 같은 급등세는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30일 에프앤가이드 기준 2025년 S&P500 지수를 예상한 증권사는 삼성, KB 등 총 6개 증권사로 이들은 5520p~6780p 사이에서 S&P 지수가 형성될 것으로 전망했다.
S&P500 지수의 주요 상승 동력으로는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따른 생산성 향상, 미국의 견조한 성장세 등이 거론됐다.
AI는 과거 인터넷, 스마트폰 등이 혁신적 변화를 가져온 것처럼, 산업 지평을 바꾸고 국가생산성을 한 단계 끌어올릴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리고 AI는 엔비디아,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 기업들이 선도하고 있다. AI 기술은 정체되기보다는 강인공지능, 자율주행, 휴머노이드 로봇 등으로 더욱 발전해 나가고 있다. 이는 주식시장에서 AI 모멘텀이 지속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김일혁 KB증권 연구원은 “생성형AI의 활용이 '글 요약과 코딩' 정도에 그칠 거라는 냉소적인 평가와는 달리, 생성형AI의 활용처는 확산되고 있다"면서 “생성형AI 성장 기대는 계속되며, 멀티플을 지지하는 힘은 쉽게 꺾이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 미국의 경제 성장에 믿음도 견고하다. KB증권에 따르면 2021~2023년 연간 명목 GDP 성장률의 전년 말 컨센서스 대비 괴리율은 평균적으로 +2.5%p였다. 전문가들의 예상보다 미국은 더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었다는 의미다. 2024년 1~2분기의 명목 GDP 성장률 역시 2023년 말 컨센서스보다 평균 1.4%p 높았다.
고용은 안정되고, 이를 비탕으로 강한 소비는 지속되다 보니 성장은 당연한 결과이기도 하다.
김 연구원은 “명목 경제 성장 전망율을 바탕으로 추정한 S&P500 주당순이익 (EPS)의 전년 대비 증가율은 2025년 16.2%, 2026년 17.2%"라며 “2023년 이후의 이익 모멘텀 반등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럼에도 지수가 급등할 것으로 예상하는 증권사는 없었다. 이는 충분히 많은 상승이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올 한해 △S&P500 35.2% △나스닥100 36.6% △필라델피아 반도체 52.0% 등 미국 증시는 전반적으로 급등장이 펼쳐졌다. 유안타증권에 따르면 S&P 500 지수의 12개월 선행 PER은 25.0배, PBR은 2006년 이후 최고치인 5.0배를 기록 중이다.
이번 AI 붐이 과거 IT 버블과는 달리 실질적인 이익 성장을 동반하고 있다 보니 멀티플 과열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황이지만 충분히 멀티플이 상승했기에 추가적인 상승은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통상 주가 예상은 실적과 향후 전망이 포함되는데 향후 우호적인 환경을 고려해 높은 배수(멀티플)을 측정하곤 한다.
다만, 대세 상승 흐름은 꺾이지 않을 전망이다. 박혜란 삼성증권 연구원은 “미국 증시는 고밸류에이션 우려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나, 구조적으로 증시 밸류에이션이 이전보다 한 단계 높아졌을 가능성을 제시한다"면서 “멀티플은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복귀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승혁 키움증권 연구원은 “2024년의 고점이 2025년의 록 바텀(Rock Bottom)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트럼프 효과는?
차기 트럼프 정부가 미 증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망은 엇갈리고 있다. 트럼프 정부가 시행할 주요 정책으로는 관세 인상, 법인세 인하, 규제 철폐 등이 꼽히는데 이 중에서 가장 주목 받는 것은 관세 인상이다.
차기 트럼프 정부가 출범된 이후 대중국 관세 60% 인상과 보편적 기본관세 10~20% 부과가 추진될 전망이다. 이 중 문제는 보편적 기본관세이다. 미국에 수입되는 물품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자국 산업 보호 기능도 있지만 미국 내 인플레이션은 야기할 수 있어 미국이 금리인하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일 수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대중 관세 인상은 사실상 기정사실화된 반면, 보편적 기본관세는 30% 수준의 시행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박 연구원은 “보편적 기본관세는 실제 시행보다 무역 협상의 레버리지(지렛대)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우세하다"면서 “대중 관세만 인상될 경우 인플레이션 완화 속도가 다소 둔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규제 철폐의 경우 특정 섹터에 우호적인 가능성이 상당하다. AI, 가상자산, 금융, 자율주행 등 빠른 시일 내 정책 집행이 용이한 업종이 주목받을 전망이다.
그는 “트럼프 정책 수혜를 찾는다면 규제 완화에 집중하자"면서 “트럼프 수혜주 플레이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선 이중에서도 내년 중으로 이행 가능성이 높은 것과 낮은 것을 구분할 필요가 있으며 금융, 가상자산 등을 최우선으로 선호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