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 집행부에 문제직원 교류 요청하는 등 전횡도
용공노, “기존 인사교류 합의...裝置로 재정립” 주장
시와 시의회, 내년 1월 정기 인사교류 잠정 중단키로

▲지난 12일 열린 용공노와 시 인사관리과 간의 인사간담회 모습. 제공=용공노
용인=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용인특례시공무원노동조합(용공노)는 31일 시의회가 집행부인 용인시를 상대로 유능한 직원 빼돌리기를 하는 등 인사전횡을 일삼고 있는데다 양 기관이 단체협약에 따라 '사전협의'를 해야 하는데도 이를 무시하고 강행하고 있다면서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용공노는 이번에야말로 모호한 규정으로 이런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 현행 인사교류 규정을 현실에 맞게 재정립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용공노는 전날 내년 1월 정기인사와 관련한 시의회 인사교류 투쟁 결과보고서를 통해 현수막 개시 등 강력한 투쟁을 선언하려 했으나 시와 시의회가 일단 인사교류를 잠정 중단하기로 결정해 노조도 투쟁을 멈추기로 했다고 밝혔다.
용공노에 따르면 시는 시의회가 내년 1월 정기인사를 앞두고 2차례에 걸쳐 인사교류률 요청했으나 일부 시의 인사 및 조직운영을 저해할 수 있다는 지적에 따라 시의회의 요청을 거부했다는 것이다.
특히 시는 2021년 12월에 체결된 '용인시-용인시의회 인사운영 등에 관한 업무협약서'에 문제가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구체적이고 명확한 기준을 새로 만들어 시의회와 재논의할 의사를 표시하자 시의회 또한 “이번 인사교류는 일단 중단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용공노는 밝혔다.
용공노는 지난 27일 '꼭 그렇게 인사를 해야만 속이 후련할까...'라는 제목의 성명을 통해 “시의회 인사권이 독립된 이후 이와 관련된 세 번째 성명서를 발표한다"며 “이번에도 의회사무국 모 사무관 인사와 관련해 시 집행부를 압박하고 있다는 제보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용공노는 그러면서 “현재 두루뭉술한 내용으로 돼 있는 인사교류 기준을 양 기관 구성원들이 납득할 만한 수준의 정교하고 치밀한 규정(장치)으로 새롭게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용공노는 이 성명에서 “현재 협약서에는 △'(인사교류)우수인재 균형배치를 위한 정기·수시 인사교류' △(조직기구) 정원조정 등 정기수사 협의 △(교육훈현)프로그램 운영시설에서 통합운영 등 5개항이 애매한 내용으로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제공-용공노 홈피 캡처
“시와 시의회 직원들 간의 '감정의 골' 점차 깊어져...우려 증폭
앞서 용공노는 지난 7월 '시의회 인사권 독립 바뀐 듯, 바뀐 게 없다'는 제목의 성명을 통해 “시의회 인사권이 독립된 지 2년 6개월이나 지났지만 그동안의 형태를 지켜보면 과거와 바뀐 게 없고 오히려 두 기관 직원 간의 감정의 골만 더 깊어진 듯하다"고 우려하면서 “시의회가 (의회사무국) 신규 공무원을 직접 채용할 수 있음에도 집행부인 시로부터만 직원을 충원하면서 빚어진 현상"이라고 했다.
성명서는 또 “신규직원을 채용하거나 언제 키우나 싶고, 타 시·군·구 전입을 통해 충원하거나 검증이 안되고 그러니 입맛에 맞는 집행부의 곶감 빼먹듯 빼앗아 가고 있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하면서 5개항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시정을 요구했다.
용공노는 △인사교류 모집공고는 왜 집행부가 하는지 △마음에만 드는 직원을 빼가려는 의도 △사고 직원은 왜 집행부에만 교류를 요청하는지 △신규채용은 왜 안하는지 △타 시·군·구 전입을 받지 않는지 등에 대해 해명을 요구하면서 '시 집행부와 시의회 간의 인사교류' 전면 중단을 역설했다.
이와함께 용공노는 2022년 11월 '곶감 빼먹기식 의회 인사교류 폐지하라!'는 제목의 성명을 통해서도 “양질의 직원 빼돌리기를 중단해 줄 것"을 요청한 적도 있다.
윤덕윤 용공노 위원장은 “명확하고 치밀한 규정없이 인사교류를 추진하다 보니 직원들간의 불만이 팽배하고 있다"면서 “지금이라도 두 기관이 충분한 논의를 거쳐 직원들이 이해할 만한 기준을 세우고 그에 따른 교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