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예정금액 최대 1조1994억 내달 상장… 기업가치 6조원
2020년 일감 몰아주기 피하려 맥쿼리PE에 지분 35% 매각
이번 IPO 성사 안되면 해당지분 주식매도 청구권 발생
LG CNS가 기업공개(IPO) 절차를 본격 추진한다. 시장에선 성공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으나, 증권 시장의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시기상조라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사모펀드인 맥쿼리자산운용과의 계약 위반을 피하기 위해 IPO를 신속하게 추진하고 있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8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LG CNS는 다음달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입성을 목표로 기업공개(IPO)를 추진 중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을 살펴보면 공모 주식은 총 1937만7190주다. 희망 공모가 범위는 5만3700~6만1900원이며, 공모예정금액은 1조406억~1조1994억원이다. 상장 후 예상 시가 총액은 최대 6조원 수준이다.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은 오는 9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된다.
앞서 이 회사는 지난 2022년 주관사를 선정한 후 상장을 준비했지만, 코로나 19로 인한 시황 악화를 이유로 연기한 바 있다. 당시 기업가치는 2조원대 후반(약 2조9000억원)으로 평가됐다.
올해 국내 증시 상황은 2022년보다 개선되지 않은 상태다. 최근 비상계엄 여파로 인한 환율 급등과 내수 침체 심화로 경제성장률이 더 낮아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현재로썬 단기적인 추세적 상승 요인이 보이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그룹 계열사와의 내부거래 비중이 연결기준 60% 수준으로 높은 축에 속한다는 점도 리스크로 꼽힌다. 그럼에도 LG CNS가 상장을 추진하는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가장 큰 이유는 2대 주주이자 주요 재무적투자자(FI)인 맥쿼리자산운용과의 계약 조건을 위반하지 않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LG는 2020년 일감 몰아주기(사익편취) 규제를 회피하기 위해 맥쿼리PE에 LG CNS 지분을 1주당 3만2838원에 약 35%가량 매각했다. 이를 통해 LG는 LG CNS 지분을 84.95%에서 49.95%로 줄였다.
당시 LG는 중대한 요건을 어길 시 맥쿼리PE 측이 LG가 보유한 LG CNS 주식 매도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콜옵션), LG에게 매수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풋옵션) 등을 조건으로 달았다. 투자업계에선 '중대한 요건' 중 하나가 IPO 추진이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통상 기업들이 상장 전 투자유치 단계에서 사모펀드 등 FI로부터 투자받을 땐 IPO에 관한 약속을 명시하기 때문.
이 때 체결된 주주 간 계약을 보면, 상장 기한을 올해 4월 29일까지로 정했다. 기한 내 상장이 완료되지 않을 경우, LG는 맥쿼리에 투자금 회수방안을 제시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선택지로 콜옵션과 상장 재추진이 포함됐다. 상장 추진 약속 기한이 임박했음을 감안하면, 계약위반을 피하기 위한 움직임이란 분석이다.
시장에선 LG CNS의 IPO 추진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지만, 최근 강(强)달러 현상이 두드러지는 점이 변수다. 원화가치가 급락해 외국계 자금을 모으기 쉽지 않고, 환율이 추가적으로 상승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서다. 실제 계엄 사태 이후 국내 증시에선 해외 투자자의 이탈이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감 몰아주기 규제 회피를 위해 사모펀드 매각을 추진한 게 이번 IPO를 다소 무리하게 추진하는 상황으로 온 게 아니냐는 시각이 힘을 얻는 이유다. 상장 성공 시 밸류업을 기대할 수 있지만, 그 반대 상황이 벌어졌을 때의 리스크도 적잖기 때문. 장기적으로 기업가치와 경영 전략에 복잡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LG 입장에선 IPO가 불발돼 맥쿼리PE가 일부 지분을 매각할 경우 일감 몰아주기 규제 대상에 다시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한 차례 IPO를 연기한 전적이 있음을 고려하면, 기업가치 하락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실제 교보생명의 경우 지난 2018년 IPO를 추진했으나 한 차례 불발된 전적이 있다. 이에 투자자인 어퍼니티가 풋옵션 행사를 요구했으나 신창재 회장이 이를 거부하며 국제 중재로 불거진 바 있다.
증권가에선 LG CNS의 주요 지수 조기 편입 가능성이 낮다고 본다. 프리IPO 지분의 오버행 이슈가 리스크로 작용하며 기관 확약률이 낮아질 수 있어서다. 지난해 개정된 코스피 200 지수의 신규상장 수시변경 특례, 정기변경 대형주 특례 규정은 유동시가총액 50% 또는 6개월 상장요건을 요구하고 있는 점도 변수다.
일각에선 IPO가 쉽게 되지 않는다는 걸 입증하기 위한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IPO 시기 조절 등을 통한 기업가치 극대화·투자수익 확대가 더 중요할 수 있다"며 “상황에 따라 투자자와의 계약 사항을 변경할 순 있지만, 구체적인 노력이 증명돼야 이에 대한 설득이 가능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