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발표···전국은 0.03%↓
전셋값은 하락전환 “일시적 떨어질 수 있으나 추세 전환은 힘들 것”
대출 규제, 탄행 정국, 계절적 비수기 등 여파로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하방압력이 커지고 있다. 새해 들어 거래 가격은 아직 보합세지만 전셋값이 선제적으로 하락전환했다. 매수 심리가 여전히 얼어붙어 있어 전국 단위 거래가도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일시적으로 서울 아파트 가격이 떨어지는 국면이 나타날 수는 있지만 추세 자체가 전환되기는 힘들 것으로 본다.
9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달 첫 주 서울 매매가격은 2주 연속 전주 대비 보합을 유지했다. 재건축 추진 단지 등 일부 선호단지에서는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그 외 단지에서 대출규제 등 영향으로 매수 관망세가 지속돼 이를 상쇄했다.
지역별로는 용산구가 도원·이촌동 등 주요단지 덕분에 0.04% 올랐다. 성동구(0.04%)는 금호·행당동 위주로, 광진구(0.03%)는 광장·자양동 위주로 상승했다. 반면 중랑구(-0.02%)는 면목·신내동 구축 위주로, 동대문구(-0.02%)는 전농·답십리동 위주로 가격이 빠졌다. 강남에서는 서포·송파구가 0.03% 올랐지만 강동·관악구가 0.02% 낮아졌다.
서울 아파트 전세값은 1년 7개월 여 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값이 지난주 대비 보합을 유지했지만 서울은 0.01% 하락했다. 서울 전셋값은 2023년 5월 넷째 주 이후 지난달 둘째주까지 83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다 이후 보합세를 나타내다가 처음으로 떨어졌다.
학군지 등 정주여건 양호한 선호단지 위주로 일부 상승거래 체결되나 입주물량 영향 있는 지역 및 구축 위주로 선호도가 낮아졌다는 게 한국부동산원 측 분석이다. 가격이 오른 지역은 중구(0.02%), 용산구(0.02%), 양천구(0.02%), 강서구(0.02%) 정도였다. 성동구(-0.09%), 동대문구(-0.08%) 등은 공급 물량에 타격을 입은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서는 매수 심리가 여전히 위축돼 있어 단기적으로 서울 아파트 가격이 하락전환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서울 지역 매매수급지수를 보면 지난해 11월 셋째 주 기준선 100 밑으로 내려간 뒤 이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 지수가 100 이상이면 팔려는 사람보다 사려는 사람이 많고, 100 이하면 그 반대라는 의미다. 시장 참여자 심리를 반영한 지수여서 시세 추이를 미리 가늠해볼 수 있는 지표로 꼽힌다.
다만 주 단위 집계에서 가격이 떨어지더라도 중장기적으로 안정 국면에 접어드는 신호는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대출 규제나 정치 불안 등 요소를 고려하더라도 선행 지표인 전월세나 임대차 시장에서 반전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팀장은 “(서울은)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있고 대출을 규제할수록 그 수요가 임대차로 넘어가는 경향이 있는데 주간 단위에서 한두차례 가격이 안정화되는 것처럼 보일 수는 있어도 추세적으로는 (하락전환이) 힘들 것"이라며 “올해만 놓고 봐도 임대차 시장 등이 안정된다는 보장이 없다"고 진단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3%)와 같은 수준의 하락세를 보였다. 수도권(-0.02%→-0.02%)은 하락폭을이 같았고 지방(-0.04%→-0.05%)은 더 커졌다. 대구(-0.13%), 부산(-0.07%), 인천(-0.07%), 전남(-0.06%), 제주(-0.05%), 경남(-0.05%), 전북(-0.05%), 광주(-0.05%) 등에서 가격이 많이 빠졌다. 전셋값은 지난주(0.00%) 대비 보합이었다. 서울(-0.01%)은 떨어진 반면 지방은 -0.01%에서 0.00%로 전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