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글로벌 리더들 기후위기 해결 촉구
신흥·개발도상국 에너지 전환에 연간 1.7조달러 필요
기후위기 인류 안보 직결,위험 완화 생태계 복원 강조
'지능형 시대를 위한 협력'을 올해 연차총회의 주제로 한 세계경제포럼(WEF, 다보스포럼)이 24일 폐막한다. 일주일간 진행된 이번 포럼에서 1600여명의 글로벌 리더들은 인류가 처한 '환경적 리스크'를 경고하며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행동을 하루 빨리 실천에 옮겨야 한다고 지적했다.
23일 세계경제포럼에 따르면 올해 행사에는 각국 정부 정상 및 세계 최고 기업 리더 등이 참여해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 시대에 보다 지속 가능하고 포괄적인 미래 형성을 위한 새로운 파트너십과 통찰력을 육성하는데 지혜를 모았다.
글로벌 리더들은 포럼에서 다양한 세션을 통해 기후위기의 문제점을 짚고 각국이 나서서 문제해결을 위한 행동을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기후위기를 향후 10년 동안 가장 큰 위험으로 규정하고, 생물다양성 손실과 생태계 붕괴를 포함한 환경적 위험이 장기적으로 상위 5개 위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경고했다.
또 포럼은 새롭게 출간한 솔루션 플레이북을 통해 인류가 탄소 순 제로 달성을 위한 탈탄소화 노력을 가속화하고, 자연의 긍정적인 전환 경로에 투자해야 한다고 짚었다. 전반적인 자원 시스템의 순환성과 회복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야망, 거버넌스, 파트너십 및 자본(금융)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신흥 및 개발도상국의 깨끗한 에너지 전환에 필요한 것으로 추산되는 연간 1조7000억달러를 충족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계속해서 촉구했다.
현재 전 세계 정부는 소비자에게 충분히, 저렴하게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전력산업을 성장시키는 동시에 에너지 효율성 개선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 경제를 성장시켜야 하는 딜레마에 직면해 있다.
이에 포럼 참가자들은 “지능화 시대가 도래하면서 기술이 점점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함에 따라 이러한 균형은 점점 더 중요해질 것"이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깨끗한 에너지 기술에 대한 강력한 경제적, 사업적 뒷받침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OECD 국가들은 향후 몇 년 동안 GDP의 2%에 해당하는 연간 예산을 녹색산업 정책에 사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 이전 시기보다 10배 증가한 수치다.
현대사회에서 기후변화는 적응하거나 이전할 자원이 부족한 취약 계층을 불균형적으로 이주시키는 주요 요인이 된다. 해수면 상승, 극심한 날씨, 환경 파괴로 인해 수백만 명이 집을 떠나 빈곤과 불안정성이 심화된다.
포럼 참가자들은 지역사회가 어떻게 기후 영향을 완화하고 기후변화에 대한 회복력을 구축할 수 있을지에 대한 다양한 논의도 이어갔다.
기후변화와 자연파괴 현상을 '안보' 문제가 연결해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포럼에 따르면 기후 변동성은 대인 및 집단 간 폭력의 위험을 높인다. 온도가 1°C 상승하면 대인 폭력이 약 2% 증가하고 집단 간 갈등 위험은 2.5%~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관계는 지역, 국가 및 심지어 글로벌과 같은 다양한 규모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기후변화는 해양 산성화로 이어지고, 종의 이동을 촉진하며, 강수 패턴을 변화시켜 생물군계를 위협하는데 이는 자연파괴 현상이다. 자연파괴는 탄소 흡수원을 고갈시키고 산불이나 삼림 개간 증가와 같은 메커니즘을 통해 추가적인 이산화탄소(CO2) 배출을 생성하며 온난화를 가속화한다. 이러한 과정은 인구가 증가하면서 증폭된다.
수단의 갈등 또한 부분적으로 환경 변화에서 비롯됐다는 주장이다. 수단에서는 지금까지 1100만 명의 사람들이 이주했으며, 그 중 많은 사람들이 수단 내 캠프나 주변 국가에 있는 캠프에서 살고 있다. 기후변화가 심화됨에 따라 이러한 캠프는 위생 및 식량 가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극한 기상현상에 취약해졌으며, 이는 난민과 지역 간 갈등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또한 전문가들은 이 지역이 지속적인 기후변화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 것이고, 2050년까지 연간 위험한 더위 일수가 두 배 더 늘어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결국 기후위기와 자연위기, 인류의 안보는 모두 연결되어 있고 상호 강화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의미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전문가들은 △변화하는 세계의 거버넌스 과제 해결 △기후 안정화 및 위험 완화를 위한 생태계 복원 △글로벌 식량 시스템 변환 △기후 적응 재조정 등 기후와 안보적 연계에 대한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