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기후대응 후퇴 주범?...에너지 위기로 이미 붕괴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1.26 13:02

트럼프 취임 전 COP29 유의미한 화석연료 퇴출 합의 도출 실패
화석연료 단계적 감축 중국 인도 산유국뿐만 아니라 유럽도 반대
유럽, 기후위기 사기 강하게 주장하는 트럼프에 별다른 대응 못해
전 세계 에너지공급의 80%는 여전히 화석연료

1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일(현지 시각) 워싱턴에서 열린 실내 대통령 취임식 퍼레이드 행사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들어 보이고 있다. AFP 연합뉴스


2024년 세계는 두 번의 큰 정치적 이벤트와 이로 인한 글로벌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가 있었다. 바로 6월 유럽의회 선거와 11월 미국 대선이다. 유럽은 수년간 지속된 에너지 위기로 인해 극우와 우파의 지지세가 급증했고 미국은 기후변화가 사기라고 주장하는 트럼프가 재선에 성공했다.




지난해 유럽 전역을 뒤흔들었던 농민시위는 그들의 생계를 위협한 그린딜(Green Deal)에 대한 항의에서 시작됐고 결국 유럽의회 지형을 바꿔놓았다. 트럼프는 취임하자마자 자신의 공약대로 파리기후협정에서 다시 탈퇴했다.


26일 최승신 C2S컨설팅 대표는 “일각에서는 트럼프가 기후 의제를 후퇴시키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한 개인의 신념이라기 보다 그동안 세계적 추세가 변한 결과라고 인식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며 “2021년부터 전세계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에너지위기를 몸소 겪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한 “블랙록을 비롯한 글로벌 금융기관들은 장기 우량고객이었던 화석연료 기업에 여전히 여러 이유로 자금지원을 해오고 있었고 에너지 위기 이후엔 수익성을 우선해야 한다며 무조건적 재생에너지 자금지원을 사실상 거부하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실제 트럼프가 처음 당선됐을 때 파리기후협정을 탈퇴한다고 했을 때보다 이번에는 그를 괴짜나 미치광이라고 바라보는 시각이 줄어든 게 사실이다. 트럼프는 1기에서도 2017년 취임 즉시 '지구온난화는 아주 비싼, 완전 사기(Global warming is a total, and very expensive, hoax)'라고 주장했으며 이번에도 기후 위기를 '녹색 신종 사기(Green New Scam)'로 규정했다. 그러나 미국인들은 그런 그를 두 번이나 선택했다.


기후 의제가 사기라고 믿는 트럼프는 2기 내각 국무부, 에너지부, 전환팀을 모두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는 인사들로 배치했다. 트럼프는 바이든의 기후 의제를 모조리 폐기한다는 방침이다. 바이든 정부의 넷제로 정책은 재생에너지 확대를 내세우며 화석연료를 완전히 퇴출시키려 했다. 반면 트럼프는 에너지 안보란 “24시간 365일 돌아가는 '회전체 용량'과 땅에서 얼마든지 뽑아낼 수 있는 '탄화수소'"라고 주장해왔다.




대선 유세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정부의 기후에너지 정책을 바로잡고 제조업 부활을 위해 모든 값싼 에너지원을 사용하겠다고 했다. 특히 선거 구호로 “석유를 채굴하자(Drill, Baby, Drill)"를 외치면서 강력한 화석연료 확대 정책 의지를 보였다. 아울러 원자력은 매우 안전하고 양질의 전력을 생산하기 때문에 원자력 발전소도 추가 건설하겠다고 했다.


이런 트럼프의 정책 방향과 대척점에 서 있던 유럽은 별다른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자신들이 추진하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이 주춤하는 모양새다.




트럼프 당선 이전에 열린 COP29는 우려대로 유의미한 기후통찰을 던져주지 못했다. 선진국의 기후자금 합의가 있었다고 하나 이를 곧이곧대로 믿는 국가는 거의 없다. 오히려 화석연료의 단계적 폐지는 감축으로, 다시 멀어지는 전환으로 후퇴했고 COP29에서는 이마저도 합의가 되지 못했다.


화석연료의 단계적 감축은 중국과 인도 산유국뿐만 아니라 유럽도 반대했다. 전 세계 에너지공급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화석연료 경제에서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블록은 그린딜을 추구하면서도 여전히 화석연료를 놓지 못하고 있다.


한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트럼프가 다시 당선됐다는 것은 글로벌 에너지패러다임이 친환경에서 에너지안보, 경제성으로 돌아서는 상징적 사건"이라며 “우리나라 정치권도 이런 추세를 인식해 정쟁을 벗어나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등 에너지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지성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