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당금 적립 강화해야”…금감원, 저축은행·상호금융 결산 전 현장점검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2.02 11:51
금융감독원이 지난해 결산을 앞두고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등 2금융권을 대상으로 현장점검을 진행하며 충당금 적립 강화를 주문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지난해 결산을 앞두고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등 2금융권을 대상으로 현장점검을 진행하며 충당금 적립 강화를 주문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지난해 결산에 앞서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등 2금융권을 대상으로 현장점검을 진행했다. 금감원은 고금리 장기화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로 2금융권의 부실 위험이 커지는 상황을 고려한 조처로 충당금 적립 강화를 주문하고 있다.




2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최근 저축은행 20여곳 중 충당금 적립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4곳을 대상으로 현장점검에 나섰다. 나머지는 경영진 면담 방식으로 진행했다. 농협·신협 등 상호금융 단위조합 중에서도 건전성 지도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몇곳은 현장검사를 했다.


금감원은 매년 결산 검사에서 각 업권의 자본 건전성과 충당금 적립 적정성 등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본다.



올해는 부동산 PF 부실에 따른 위험이 높아진데다 경기 침체 영향으로 저신용·취약계층의 상환 능력이 더 떨어지면서 2금융권의 건전성을 두고 평소보다 높은 관리에 들어갔다.


금감원은 고정 이하로 분류된 자산이 많은 저축은행에는 충당금을 여력 내에서 정해진 기준보다 더 쌓으라고 주문했다. 이는 부실채권이 많을 경우 스스로 손실 흡수 능력을 쌓는 차원으로, 금감원은 필요 시 면담 외에도 결산 전까지 협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금감원은 지난해 1·2차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를 통해 충당금 적립 기준을 강화하고, 부실에 상응하는 충당금 적립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다. 고금리가 장기화하면서 2금융권의 부실 지표는 사상 최대 수준으로 악화한 바 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저축은행 79곳 중 36곳(45.6%)의 연체율이 1년 전(17.7%)보다 대폭 증가해 1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 비율이 20%를 넘어선 저축은행도 4곳에 달했다.




비은행권의 건설·부동산업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지난해 3분기 기준 각각 8.94%, 6.85%를 기록했다.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5년 1분기 이후 9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의 경우도 비은행권에서 건설·부동산 업종이 각 24.0%, 20.38%에 달했다.


최근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 요인에 따라 부동산 PF 사업장 정리 및 재구조화 속도가 둔화하고 있다. 정리가 완료된 물량은 지난해 9월 말 1조2000억원, 10월 말 2조4000억원(누적)으로 늘었지만 11월 말에는 2조9000억원, 12월 16일 기준 3조5000억원 등으로 증가 폭이 줄어들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달 30일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결산 시 금융회사가 충분한 충당금을 적립하도록 유도해 내수부진, 부동산 침체에도 자금공급 기능이 위축되지 않도록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라"고 강조한 바 있다.



박경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