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기업 오찬간담회, 현지 진출 기업과 소통 강화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시나리오별로 대응”
정부 360조 수출 금융 공급 방침, 수출 지원사업에 2조9000억 지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와 관련,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가용 수단을 총동원해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정부는 통상·에너지 관련 행정조치의 영향과 대응방안을 검토하기 위한 부내 TF 회의를 주재하는 등 시나리오별 대응 방안 마련에 돌입했다.
최 권한대행은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수출기업 오찬 간담회에 참석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멕시코와 캐나다 그리고 중국에 대한 고율의 관세 조치로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최 권한대행은 “미국과 다양한 채널로 소통할 것"이라며 “우리의 입장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멕시코 및 캐나다, 중국 진출 기업들과의 소통도 지속해서 강화할 것임을 덧붙였다.
이날 참석한 수출기업들은 정부에 반도체·이차전지 산업 지원 확대, 조선업 금융지원 및 선수급 환급보증(RG) 한도 상향, 해외전시회 및 수출바우처 지원 확대 등을 요청했다.
이에 최 권한대행은 “수출 전선에 있는 우리 기업이 정부 지원을 체감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관계부처와 유관 기관이 현장과 소통하고 적극적으로 협업해달라"고 당부했다.
정부도 미국의 통상·에너지 관련 신규 조치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산업부에 따르면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미국 신(新)정부의 캐나다, 멕시코, 중국 대상 관세 조치의 내용과 영향을 점검하고, 미국 신정부의 주요 통상·에너지 관련 행정조치의 영향과 대응방안을 검토하기 위한 부내 TF 회의를 주재했다.
정 본부장은 “미국 신정부가 미국 우선주의 정책하에 각종 행정조치를 빠르게 발표하고 있으며 관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바, 정부와 민간이 역량을 결집하여 이에 효율적,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 본부장은 “우리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미국 통상·에너지 주요 행정조치에 대해 부내 모든 가용 수단을 동원하여 시나리오별로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초기 대응이 중요한 만큼, 산업부는 앞으로 신속하게 미국의 관세 등 정책 동향을 면밀히 관찰하고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과정에서 우리 관련 업계의 우려 및 건의사항을 청취하여 함께 대응 전략을 점검하고, 유사한 상황에 놓인 주요국들의 동향을 파악하며 대응 방안을 논의할 방침이다.
나아가 가용한 모든 협력 채널을 활용해 미국 신정부와 긴밀히 소통하는 등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최선의 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다.
앞서 정부는 수출기업 유동성 확보를 위해 360조원의 수출 금융을 공급하겠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해외전시회와 무역사절단 등 수출 지원 사업에 2조9000억원을 지원하고, 중동·중남미 등 신흥시장의 통상 네트워크도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