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불황 속 ‘알토란’…도시재정비 수주 경쟁 뜨겁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2.04 15:07

한남4구역 재개발 시작으로 건설사들 경쟁 붙어
개포주공6·7단지, 잠실우성 1·2·3차 등 수주 치열
아파트 분양 침체·대규모 인프라 공사↓영향 받아

도시재정비 사업

▲압구정 현대아파트 재건축 조감도. 사진=연합뉴스

아파트 시장의 침체로 지방 분양이 사실상 불가능해지고, 대규모 인프라 공사도 줄어들자 대형 건설사들의 도시재정비사업 수주 경쟁이 점차 치열해지고 있다. 최근 삼성물산이 수주한 한남4구역 재개발이 대표적인 사례로, 향후 개포주공6·7단지, 잠실우성 1·2·3차 등에서도 뜨거운 경쟁이 예상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공사비가 조(兆) 단위에 달하는 서울 대규모 정비사업지들이 올해 잇따라 시공사 선정에 나서며 대형 건설사들이 정비사업 수주전에 속속 참전하고 있다. 공사비 인상과 부동산 경기 침체 영향으로 정비사업 수주 경쟁을 기피했던 과거와는 완전히 달라진 분위기다.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개포주공6·7단지는 조합이 제시한 공사비만 약 1조5140억원에 달하는 '노른자 땅'이다. 해당 사업은 개포동 일대 11만6682.3㎡ 부지에 지하 5층∼지상 최고 35층, 총 2698가구 규모의 아파트와 부대복리시설을 짓는 프로젝트다. 업계는 이번 시공권 수주전이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의 2차전이 될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다.



압구정, 잠실, 성수 등 향후 남은 정비사업 수주전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려면 개포주공6·7단지 시공권 수주가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두 건설사 모두 개포동 일대 재건축 경험도 보유하고 있다.


송파구 잠실 일대 최대 재건축 사업장 중 하나인 잠실우성 1·2·3차 재건축 사업에서도 불꽃 튀는 경쟁이 예상된다. 이 프로젝트는 서울 송파구 잠실동 일대 12만354㎡ 용지에 지하 4층~지상 49층 규모 공동주택 2680가구를 짓는 대규모 사업이다. 조합 측이 예상한 공사비는 약 1조6199억원이다. 시장에서는 과거 입찰에 참여했던 GS건설과 최근 정비사업 수주에 공격적으로 나서는 삼성물산의 경쟁을 예상한다.




서초구 방배15구역도 △포스코이앤씨 △금호건설 △현대엔지니어링 △HDC현대산업개발 등 건설사 4곳이 입찰참여 의향서를 제출한 접전지다. 서초구 방배동 528-3번지 일대 8만4934㎡에 지하 3층~지상 25층 1688가구 규모의 아파트와 부대복리시설을 짓는 사업이 예정됐다.


또 50~70층 높이의 5800가구 규모 대형 마천루 아파트가 건립될 예정인 강남구 압구정3구역도 대형 건설사와 삼성물산의 2차전이 예상되는 지역이다. 이밖에 성수전략정비구역 4지구와 용산구 정비창전면1구역 등에서도 대형 건설사들의 물밑 다툼이 치열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이처럼 정비사업 수주 경쟁이 심화되는 이유는 국내외 건설 경기가 전반적으로 침체된 가운데 건설사들이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기 위해 '알짜'로 불리는 서울 핵심 지역 정비사업에 수주 역량을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곳들은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곳이 많아 '흥행'에 문제가 없다. 또 용적률이 기존보다 높게 허용돼 조합원들에게 새 집을 주고도 일반분양을 할 수 있어 공사비와 사업비를 모두 지급하고도 이익이 날 수 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해외 건설수주는 211억1000만달러(30조 9113억원)로 전년 대비(235억달러(34조 3969억원) 10.3% 줄어들었다. 공사비 급등과 경기 침체에 따라 국내 주택 시장의 불황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11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5056가구로, 2020년 7월 이후 4년 만에 가장 많았다. 특히 이 중 81.3%인 5만652가구가 지방에 집중돼 있다. '악성'인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1만4802가구에 달한다. 대규모 인프라 공사도 줄어들어 지난해 4분기 토목 공사도 2023년 2분기 이후 6분기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이로 인해 도시재정비사업이 건설사들의 주요 수입원으로 부상한 상황이다. 다만 건설업계는 치열해진 다툼으로 '출혈경쟁'이 예상돼 높은 경쟁률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예컨대 최근 한남뉴타운 한남4구역에서 현대건설을 제치고 수주에 성공한 삼성물산도 3조원 규모의 사업비를 자체 조달하고 물가 상승분 314억원을 전액 부담하는 바람에 사업성 확보에 다소 지장이 생긴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여러 건설사가 수주권을 따내려 경쟁하면 입찰조건을 파격적으로 낮출 수밖에 없게 될 것"이라며 “공사비 인상 기조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비용 지출이 커지는 출혈 경쟁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김유승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