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E칼럼] 불확실한 미래와 싸우는 에너지 자원개발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2.05 10:58

신현돈 인하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신현돈 인하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신현돈 인하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세계 정세 속에서 기후변화와 에너지전환 문제는 너무나 복잡하게 돌아가고 있다. 늘어나는 세계 인구와 경제 성장을 위해 안정적 에너지자원 공급이 모든 국가의 최우선 과제로 인식된 지도 오래되었다. 최근 4년 만에 미국의 대통령으로 돌아온 트럼프의 값싼 에너지 정책 표방으로 그간 유럽 주도의 세계 기후변화 정책은 후퇴되고 있다. 또한 자국의 석유가스 개발과 생산을 늘리는 정책을 추진하고 값싼 화석연료로의 회귀를 예고했다. 세계 최대 에너지 강국인 미국의 에너지 정책변화는 곧바로 전 세계 에너지전환에 큰 변수로 작용하여 미래의 에너지원 확보 전략에 대한 불확실성을 더욱 증폭시켰다. 이런 상황에 더하여 작금의 국내 경제 및 정치의 불확실성은 장기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에너지자원 안보 정책을표류하게 만들고 있다.




오랜 시간과 대규모 자본 및 기술의 축적이 필요한 에너지 자원개발은 장기적 관점에 기반한 실행력 있는 계획이 없으면 우왕좌왕한다. 계획은 있지만 추진할 자본과 능력이 없으면 또한 낭패를 본다. 결국 청사진만 반복하여 만들다가 시간만 지나가고 이루어지는 것은 하나 없다. 특히 불확실성이 큰 자원개발의 경우에는 치밀한 계획과 넉넉한 자본이 있어도 꾸준히 지속적으로 추진하지 않으면 사업에 성공하기는 더욱 어렵다. 불확실성이 크다고 운에만 맡기면 아무런 발전도 없이 실패만 반복될 뿐이다. 불확실성이 큰 분야에서는 여러 번의 실패가 쌓여 씨앗이 되어 훗날 성공의 밑거름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끈질긴 노력과 인내가 필요하다. 이런 각오가 아니라면 아예 자원개발에 나서지도 말라. 그냥 국가의 운명을 운에 맡기고 위기를 극복할 도전도 포기한 채 지켜만 보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에너지자원은 국가별 편재성과 유한성으로 인하여 국가 산업과 경제에 민감한 문제이기에 이를 확보하기 위한 국가 간 분쟁의 원천이 된다. 그러기에 에너지자원은 국가의 문제이지 기업과 개인의 문제로 다루어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특히, 땅속에 부존하고 있는 자원을 탐사해야 하는 자원개발은 탐사 성공률도 낮고 사업 시간도 길게 소요되고 또한 대규모 자금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므로 자금 여력이 충분한 대규모 기업이나 국영기업이 나서서 진행할 수밖에 없다. 지금처럼 끊임없는 국지적 분쟁과 기후변화 및 에너지 정책변화 등 다수 분야에 걸쳐 불확실성이 증폭되는 상황에서는 사업 특성상 불확실성이 큰 자원개발 분야의 정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겠지만 꼭 추진해야 할 매우 중요한 일이다.



자원산업은 긴 리드타임이 필요하다. 투자를 시작해서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하기도 어렵고 또한 성공하더라도 생산에 이르기까지 걸리는 기간이 10년 이상 필요하다. 즉, 미리 시작해야 우리가 원하는 시기에 얻을 수 있다는 뜻이다. 이처럼 국가와 사회를 지탱해 주는 자원 확보는 장기적 계획에 따라 꾸준히 실행되어야 한다. 자원공급 문제가 발생하여 겉으로 드러나면 당장 대응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이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고 그 피해는 그대로 국민의 몫이 될 것이다.


불확실성이 커지는 국제 정세에서 지금 또다시 준비 없이 방황하며 시간을 보냈다가는 10년 후에 또다시 후회를 반복할 수도 있다. 향후 30년 이상 소요될 불확실한 탄소중립과 복잡한 에너지전환 시대에 어떻게 대응하는지가 우리의 미래를 결정할 것이다. 실패가 두려워 일을 시작하지 않으면 실패는 없겠지만 시간이 지나가도 얻는 것도 변하는 것도 없다. 우리 사회와 국가를 위한 자원안보 최전선에서 불확실한 미래와 싸우며 어렵게 버티고 있는 자원 기업들의 도전정신에 대한 응원과 기다림이 필요한 시기이다.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