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수요 고려시 RWA 감소 가능”
보통주자본비율 13.1% 타깃
작년 순이익 4조5175억원...3.4% 증가
비은행 기여도 25%로 하락
“부동산 관련 대손충당금 인식 원인”
“올해 손익 큰 폭 성장 기대”
![신한금융그룹](http://www.ekn.kr/mnt/file_m/202502/news-p.v1.20250206.e840d7c0a27c4fa695ac66dbd1634c7f_P3.jpg)
▲신한금융 본사 전경.
신한금융지주가 올해 자본 효율성 제고 관점으로 자회사별 위험가중자산(RWA) 예산(Budget)을 배분한다. 계열사별 자본수익률(ROC) 수준과 영업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연간 RWA 성장률을 5% 내외 수준에서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동시에 안정적인 재무 성과를 바탕으로 보통주자본(CET1)비율을 13% 이상 지속적으로 유지할 계획이다.
천상영 신한금융지주 최고재무책임자(CFO)는 6일 2024년 실적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올해 RWA 성장 경로는 기존과는 다른 모습으로 전개될 것"이라며 “올해는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실질적으로 이행하는 원년으로, 자본 수익성 관점의 성장에 우선순위를 두겠다"고 밝혔다.
신한금융은 2021년부터 작년까지 RWA를 7~9% 내외로 관리하고 있었는데, 올해부터는 5% 내외로 유지할 계획이다. 지난해 신한금융의 RWA 잔액은 342조7000억원, RWA 성장률은 9.1%였다.
그는 “가계대출은 여러 규제 환경이나 매크로 환경을 고려하면 과거처럼 크게 성장하기 쉽지 않은 환경"이라며 “기업대출은 금리 인하기가 도래하면서 직접금융 시장이 활성화되면, 은행의 차입 수요도 조금 줄어들 수 있어 시장 수요 측면에서 감소할 여지가 충분히 있다"고 설명했다.
신한금융은 작년부터 그룹사별로 RWA 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올해 RWA 한도 초과분에 대해서는 페널티 제도를 강화할 방침이다. 천 CFO는 “정책적으로 RWA 페널티나 ROC 등 평가 기준을 명확하게 하고, 자원 배분을 ROC 기준으로 정리한다면, 충분히 RWA는 관리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RWA를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함과 동시에 안정적인 재무 성과를 기반으로 CET1 비율을 13% 이상 지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작년처럼 환율이나 여러 변수를 고려할 때 분기별로 13.1% 수준을 타깃해서 계속 잘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신한금융은 2024년 연간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지분 순이익 기준) 4조5175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3.4% 증가한 수치다. 작년 말 기준 그룹의 국제결제은행(BIS)자기자본비율은 15.76%, CET1 비율은 13.03%였다.
다만 비은행부문 기여도는 2023년 35%에서 지난해 25.2%로 하락했다. 부동산 관련 보수적인 충당금 인식과 증권사 일회성 요인 등으로 자본시장 부문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천 CFO는 “지난해 비은행 부문의 실적 부진이 아쉬운 부분이라고 생각한다"며 “신한자산신탁, 신한투자증권, 신한캐피탈 등 비은행 손익이 감소한 원인은 (부동산 PF 등) 충당금 영역"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캐피탈이나 자산신탁은 작년과 같은 거액 손실 요인들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면, 올해 기저효과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한다"며 “지난해 신한은행에서 발생한 주가연계신탁(ELT) 손실 반영 등 몇 가지 요인들만 고려해도 분기별 경상 체력은 최소 1조4000억~1조5000억원이다"고 강조했다.
천 CFO는 “이를 고려하면 올해 손익은 전년 대비 큰 폭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