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개인정보를 유출할 수 있다는 우려로 '딥시크 포비아'가 확산하는 가운데 미국에서도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는 국가 대열에 합류하고 있다.
6일(현지시간) AP통신,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미 연방 하원 정보위원회 소속 대런 라후드(공화·일리노이) 의원과 조시 고트하이머(민주·뉴저지) 의원은 미 정부 기관 기기에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딥시크 앱을 통해 다양한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고트하이머 의원은 성명을 통해 “중국 공산당은 미국의 국가 안보를 약화시키고 해로운 허위 정보를 퍼뜨리고 미국인들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어떤 수단이든 동원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며 “우리는 중국 공산당이 정부 기관 기기에 침투하여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리스크를 감수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또 AP통신에 “모든 정부 기기에서 즉시 차단하고 대중에게 위험성을 분명히 알려야 한다고 생각한 것만으로도 충분히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고 말했다.
앞서 미 연방의회는 지난 2022년 민감한 사용자 정보가 중국 정부에 흘러 들어갈 가능성을 우려해 정부 기기에서 중국 바이트댄스의 동영상 공유 앱인 '틱톡'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처리한 바 있다.
딥시크의 AI 모델은 오픈AI의 챗GPT에 필적하거나 오히려 능가하는 성능을 지녔으면서도 개발비는 미국 AI 기업들이 들인 비용의 10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미국 실리콘밸리에 충격을 줬다.
딥시크 AI 모델이 돌풍을 일으키면서 딥시크의 챗봇 서비스 앱은 미국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AP통신은 사용자 개인정보를 중국 국영통신사 차이나모바일로 전송하는 코드가 딥시크에 숨겨져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보안 우려가 커지면서 한국을 포함한 각국에서는 이미 딥시크 접속 차단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다.
한국 정부 부처들은 이미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접속을 제한했고 대만, 호주, 이탈리아 등에서도 정부 소유 기기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한 상태다.
미국의 경우 해군과 항공우주국(NASA) 등 일부 연방기관이 이미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으며, 주(州) 정부 차원에서는 텍사스주가 딥시크 접속을 차단한 상태라고 WSJ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