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금융감독원장-은행장 간담회에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19일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과 관련 “임기를 채우시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우리금융이 부당대출 등 내부통제 문제가 발생한 상황에서 임 회장이 갑자기 자리에서 물러나면 거버넌스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낸 것이다.
이 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은행장들과 간담회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그는 “2022년 손태승 우리금융 전 회장의 연임을 두고 혼란을 체험해 봤다"며 “임종룡 회장이 지금 상황에서 갑자기 빠지게 되면 거버넌스와 관련된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저는 기본적으로 임 회장이 임기를 채우시는 게 좋겠다는 생각을 기회될 때마다 사석에서 많이 밝혔다"고 말했다.
이어 “임기와 관련해서는 이사회 내지는 주주 등이 결정할 수 있는 문제지 금감원이 의견을 낼 문제는 아니다"며 “거버넌스가 흔들리면 안되겠다는 생각을 임 회장에게도 여러 번 말씀드렸고, 적어도 (우리금융 내부통제) 문제는 임 회장이 정리를 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이 원장은 “(부당대출 문제를) 되게 심각하게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금융만의 문제는 아니다. 어느 회사 하나라고 할 것 없이 1000억원 단위의 사고들이 발생하는 것은 크게 각성할 문제"라며 “당국도 금융회사와 관계가 온정주의로 흘렀기 때문에 이런 상황에 처한 것이 아닌가 반성을 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임 회장이 (사태를) 수습해야 한다는 당위와, (금감원과 우리금융의) 사이가 좋아졌으니 아무렇게나 해도 된다는 것은 분리될 수 있는 문제"라며 “검사 결과에 대한 엄정한 판단, 경영실태평가에 대해 금융위원회에 보고하고, 보고 이후에 이어질 자회사(보험사) 편입 문제 등을 원칙대로 엄정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19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금융감독원장-은행장 간담회에서 이복현 금감원장이 발언하고 있다.(사진=에너지경제신문)
우리금융의 경영실태평가에 대해서는 “결과가 좋게 나온다고 한들 지금 이 상황에서 '외연 확장을 마음껏 하세요'라고 할 수는 없다"며 “설사 좋게 나온다고 하더라고 지금 정도의 거버넌스나 관리 역량이 외연 확장을 해도 되는 건지 점검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원장은 “우리금융 회장과 우리은행장은 본인들이 직을 걸고 체질 개선을 하고 환골탈태를 하셔야 하는 것이 아닌가"라고 반문하며 “임기 문제가 아니라 지배구조의 문제, 내부통제의 문제, 온정주의 내지는 파벌의 문제"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그는 “IBK기업은행도 마찬가지"라며 “기업은행도 결국은 끼리끼리 문화, 온정주의 문화 내지는 외연 확장주의에서 (부당대출 문제가) 발생했다"며 “되게 심각하게 보고 있고 큰 책임을 물으려고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