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 제공=경기도
경기=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0일 “주 4.5일제, 우리가 가야 할 길"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이날 자신의 SNS에 올린 글을 통해 이같이 주장하면서 '노동시간 감축 효과'에 대해 설명했다.
김 지사는 글에서 "법정 노동시간을 주 35시간으로 줄이면 저출산 극복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알렸다.
김 지사는 이어 "경기도가 선제적으로 임금 삭감 없는 주 4.5일제를 도입하는 이유"라면서 "AI 기술진보에 따라 산업이 재편되고 노동의 형태도 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특히 "노동시간과 조건 등에 대한 젊은 세대의 인식도 바뀌고 있다“고 했다.
김 지사는 그러면서 "노동시간 단축은 일과 삶 양립은 물론이고, 기업의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끝으로 "제가 산업현장에서 직접 확인한 결과“라면서 '주 4.5일제'를 재차 강조했다.
한편 경기연구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저출산 극복을 위해 현행 법정 근로시간인 주 40시간을 주 35시간으로 단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1983년 2.1명에서 2023년 0.72명으로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인다“면서 "초저출산의 여러 요인 중 육아 관련 제도의 낮은 실효성과 장시간 근로문화가 일가정 양립을 어렵게 하고 출산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연구원은 특히 2024년 전국 20~59세 근로자 1000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 결과 일상생활 균형을 이루는 데 가장 어려운 이유로 남자의 26.1%와 여자의 24.6%가 장시간 일하는 문화와 과도한 업무량을 꼽았다.
이 비율은 20대와 30대 여성에서 특히 높게 나타나 각각 39.3%, 31.5%를 보였으며 이로 인해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게 쉽지 않으므로 응답자 대다수는 근로 시간을 줄이는 게 답이라고 연구원을 말했다.
무엇보다 출산과 양육의 주 연령대인 맞벌이 가구의 30대에서 그 차이가 가장 커 근로 시간 단축으로 남자는 84분, 여자는 87분을 희망하고 있다.
또한 무자녀 가정보다는 자녀가 1명인 가정에서 출산 의향이 있는 경우 68분, 없는 경우 49분으로 나타난 것을 보면 근로 시간 단축이 출산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따라 연구원은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공공기관이 우선 도입하고, 통근 시간 일부를 근로 시간으로 인정하는 방안도 선제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유정균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주 40시간인 현행 법정 근로시간을 주 35시간으로 단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특히 육아기 자녀를 돌보는 근로자를 대상으로는 단축 시간을 더 늘리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