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위 조치, 국산 대비 30~40% 판가 낮다는 점 의식
철강업계 시장 점유율·실적, 단기적 회복 이뤄낼 전망
한화오션 “대응 방안 검토 중”…중소 조선사들 ‘한숨’

▲한화오션 거제 사업장 크레인. 사진=한화오션 공식 유튜브 채널 캡처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가 중국산 후판에 대해 두 자릿수의 잠정 덤핑 방지 관세를 물리기로 했다. 중국산 후판 수입 가격이 오르면 국내 철강업체들은 반사 이익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조선업계는 원가 부담 증가로 인한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
21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전날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중국산 탄소강과 합금강 열간압연 후판(厚板) 제품에 대해 잠정 덤핑 방지 관세 부과 건의를 결정했다.
예비 조사 결과, 무역위는 열간압연 후판에 대한 덤핑 사실과 덤핑 수입으로 인한 국내 철강업계에 대한 실질적 피해를 추정할 수 있는 충분한 근거가 있다고 판정했다. 아울러 본 조사 기간 중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잠정 덤핑 방지 관세율을 27.91%에서 38.02%까지 설정하는 방안을 기획재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통상 두께가 6mm 이상의 강판을 의미하는 후판은 주로 조선·건설·교량·플랜트·압력 용기·해양 구조물 등에 사용된다. 조선용 후판은 10~50mm 두께가 일반적이며, 용도에 따라 100mm 이상의 초후판도 사용된다.
무역위의 이 같은 결정은 현대제철의 반 덤핑 제소에 따른 것이다. 중국산 후판 가격은 국산 대비 30∼40% 가량 저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무역위가 고율의 잠정 덤핑 방지 관세 부과를 결정한 것도 이 같은 시장 조사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중국산 후판 수입 가격이 관세가 적용돼 상승하면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경쟁에서 다소 유리해져 시장 점유율과 실적을 단기적으로 회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철강업계 1위 포스코는 포항·광양제철소에 각각 340만톤, 250만톤 규모의 후판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포스코는 2023년 기준 해외 공장을 포함, 총 660만톤의 후판을 생산했고 작년에는 3분기까지 485만톤을 생산했다. 2위인 현대제철은 전체 연 200만t 규모의 후판을 생산한다. 동국제강도 금액 기준 전체 매출 약 4조원 가운데 4000억원가량을 후판에서 거둔다.
국내 후판 시장 수요는 연간 약 800만t 안팎으로 추정된다. 톤당 100만원 수준인 후판 가격을 고려하면 국내 후판 시장은 연 8조원 규모다.
하지만 당국의 조치가 얼마나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미지수여서 '언 발에 오줌 누기'에 불과할 것이라는 비관도 존재한다. 세계 철강 생산의 과반을 차지하는 중국의 수출 공세가 계속해서 공급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기 때문이다.
중국 내 철강 소비를 지탱해 온 건설·부동산 시장은 침체 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현지 철강사들의 감산 폭은 제한적이다. 중국의 조강 생산량은 2020년부터 연간 10억톤을 상회한다. 작년에도 10억500만톤을 기록해 전년 대비 1.7% 감소하는 데에 그쳤다.
이로 인해 과잉 생산 제품이 수출길에 오르자 2024년 중국의 철강 수출은 2015년 112백만톤에 이은 역대 두 번째인 111백만톤으로 집계됐다.
일각에서는 중국 정부가 세계무역기구(WTO)에 우리나라를 제소함과 동시에 한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 부과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한편 중국산 후판을 수입해 선박을 만드는 조선업계는 무역위의 조치에 반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는 않지만 수익성 저하를 우려하고 있다. 관세가 붙어 생산 원가가 오르는 현상이 발생해서다. 후판은 선박 제조 원가 중 약 20%를 차지한다.
국내 대형 조선사들의 중국산 후판 사용량은 전체의 20% 수준이라는 전언이다.
한화오션 관계자는 “현 시점에서는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비용 절감을 위해 중국산 후판을 주로 수입하는 중소 조선사들은 몸이 달았다. 업계에 따르면 이들의 중국산 후판 사용 비중은 50∼70%에 이른다.
조선업계 선박 수주 계약 대부분이 선수금을 적게 받고 인도 대금을 많이 받는 형태의 '헤비 테일' 형식인 것으로 감안하면 무역위의 이번 반덤핑 관세 조치로 중소형 조선사들의 타격은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