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보영 “교부금 4700억원 활용…여객 운송 등 핵심 사업 경쟁력 강화”
“화물본부 외 구성원 이관, 사실상 구조조정” 질의엔 “잘 준비하겠다”
대한항공 “완전 흡수 합병, 내년 10월 목표…차질 없이 진행 노력 경주”

▲25일 아시아나항공은 서울 강서구 오쇠동 본사에서 2025년 제2회 임시 주주 총회를 개최했다. 사진=박규빈 기자
아시아나항공이 에어인천으로의 화물 사업과 자산 이관을 마쳐 대한항공과의 합병에 한 걸음 다가서게 됐다. 이에 대한항공은 내년 하반기까지 합병 작업을 계획대로 이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16일 아시아나항공은 이날 오전 9시 서울 강서구 오쇠동 본사 본관 4층 OZ홀에서 2025년 제2차 임시 주주총회를 개최했다.
정관 제23조에 의거, 송보영 아시아나항공 대표이사(부사장)가 의장 자격으로 주총을 진행했다. 이날 의결 사항은 국제 화물 운송과 부수 사업을 담당하던 화물본부를 아시아나항공에서 물적 분할해 승계 회사인 에어인천에 흡수 합병하는 안건이었다.
아시아나항공이 에어인천으로 넘기는 화물 관련 자산은 △구매·임차 항공기 △임차 부동산 △거래 종결일 기준 대상 사업 운영과 관련된 유효한 계약·매출 채권·미수금·선급금·보증금 반환 청구권 △슬롯·운수권·시베리아 항로(TSR) 영공 통과 이용권 등이다.
이전 제외 대상은 △모든 현금 자산 △아시아나항공의 주식·지분·출자금 △이전 제외 계약 △항공 운송 사업 면허·항공 운항 증명(AOC) 등 양도 불가 인허가 △아시아나항공의 상표·도메인·URL·이전 제외 IT 설비 △보험 권리 △여객 운송 슬롯·운수권 △아시아나항공의 타 사업부와 관련된 용역 제공 권리 △특허·상표·저작권 포함 국내외 지식 재산권 등이다.
앞서 지난달 16일 아시아나항공 이사회는 화물본부 분할 합병을 의결한 바 있다. 분할 합병 기일은 오는 6월 9일이고 종료 보고 총회와 분할 합병 등기 예정일은 같은 달 10일이다.
이로써 아시아나항공에는 매출 담당 조직이 여객본부만 남게 된다.
송보영 대표는 “이번 분할 합병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와 일본 공정취인위원회의 당사와 대한항공 간 기업 결합 승인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진행되며, 신주 인수 거래 종결 후 이뤄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에어인천으로부터 화물본부 매각 대가로 받은 교부금 4700억원을 활용해 재무 구조를 개선하고, 여객 운송 등 핵심 사업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철저한 안전 운항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수익성을 강화하고 기업 가치를 높이기 위해 모든 임직원이 하나 돼 최선을 다하겠다"고 언급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아시아나항공의 총 부채 규모는 12조4796억원이고, 부채 비율은 1846.86%로 집계됐다.

▲25일 서울 강서구 오쇠동 본사에서 개최된 2025년 제2회 아시아나항공 임시 주주 총회에서 한 주주가 발언 중인 모습. 사진=박규빈 기자
현장에는 아시아나항공 조종사 노동조합(APU) 관계자도 주주 자격으로 참석했다.
그는 “아시아나항공이 신설 법인 설립을 하지 않고 화물본부를 분리 매각하는 게 상법 제530조의 2에 부합하느냐"고 질의했다.
또한 “분할 합병은 포괄 승계를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근로자들은 기존 소속이 변경될 뿐,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게 되는데 화물본부가 에어인천으로 이관되며 법정 교육 외에도 추가적인 지상·시뮬레이터 훈련이 계획된 것으로 알려졌다"고도 했다.
아울러 “일부 근로자들은 해당 교육이 불합리하다는 이유로 거부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을 경우 회사 운영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와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에 송 대표는 “문의 사항은 진행 중인 본 안건과는 무관한 질문"이라며 “주주 총회 종료 후 담당자가 직접 답변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한편 대한항공은 이로써 세계 각국 경쟁 당국들이 요구한 기업 결합 승인 조건을 맞춰 내년 10월로 목표로 한 아시아나항공 완전 흡수 합병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남은 절차를 차질 없이 진행해 아시아나항공과의 합병 완료가 원활히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