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신규 매장 설치 의무화… 정부 지원 사업으로 비용 부담 완화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2.28 14:44
4

장애인과 고령자, 외국인 등 다양한 고객층이 불편함 없이 매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2025년부터 개정된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따라 모든 신규 매장은 반드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를 도입해야 하며, 기존 매장도 2026년까지 이를 교체해야 한다. 이에 따라 정부는 소상공인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원 사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관련 업계도 보급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배리어프리 키오스크는 기존 키오스크와 달리 모든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화면 터치 방식에 의존했던 기존 키오스크는 시각장애인, 휠체어 이용자, 고령층이 사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반면, 배리어프리 키오스크는 음성 안내 기능을 제공해 시각장애인이 화면의 내용을 들을 수 있도록 돕고, 점자 키패드를 적용해 촉각을 활용한 조작이 가능하게 했다. 또한, 휠체어 이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화면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물리적 버튼과 음성 명령 기능을 추가해 다양한 방식으로 주문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외국인 고객을 위한 다국어 지원 기능도 포함돼 접근성을 한층 강화했다.


2023년 개정된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따르면, 2024년부터 공공기관, 교육시설, 의료기관, 금융기관 등에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도입이 의무화됐으며, 2025년부터는 모든 신규 매장에도 이를 적용해야 한다. 2026년부터는 기존 매장까지 단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최대 24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어, 소상공인들의 빠른 대응이 요구된다.




정부는 이러한 변화에 대비해 소상공인 스마트상점 지원사업을 통해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도입 비용을 일부 지원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인증을 받은 비버 배리어프리 키오스크는 정부 지원금을 활용하면 저렴한 가격에 도입할 수 있다.


일시불 구매 시 310만원, 할부 구매 시 월 10만5000원, 렌탈(구독형 서비스) 이용 시 월 4만5000원으로 제공되며, 소규모 매장에는 키오스크 대신 비버 QR오더 KIT를 활용한 대체 방안도 마련돼 있다.


소상공인들은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도입이 법적 의무를 넘어 매장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기존 키오스크를 사용할 수 없어 주문을 포기했던 고객층을 확보할 수 있는 점이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힌다.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도입을 고려하는 소상공인은 정부 지원이 제공되는 지금이 최적기다. 지원금을 활용하면 초기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법 시행 전 미리 대비할 수 있다. 소상공인은 키오컴퍼니를 통해 도입 상담 및 지원금 신청이 가능하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