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군 최초 승전지 ‘장성 황룡전적’ 손본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3.06 17:31

종합정비계획 수립용역 최종보고회 개최…김한종 군수 “역사적 가치 재조명”

동학농민군 최초 승전지 '장성 황룡전적' 손본다

▲장성군은 1894년 동학농민군이 신무기로 무장한 관군을 상대로 죽창과 장태를 들고 싸워 최초로 승리한 역사적 현장인 '장성 황룡전적' 사적지 정비를 추진한다. 제공=장성군

장성=에너지경제신문 문남석 기자 장성군은 1894년 동학농민군이 신무기로 무장한 관군을 상대로 죽창과 장태를 들고 싸워 최초로 승리한 역사적 현장인 '장성 황룡전적' 사적지 정비를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장성군의 핵심 국가유산이지만 관련 역사가 기록된 시설이나 공간이 없어 이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사적지가 농경지에 둘러싸여 있다 보니 지역민과 방문객들이 느끼는 불편도 적지 않았다.


군은 이러한 의견을 수렴해 지난해 7월 중합정비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했고 최근 군청 상황실에서 김한종 장성군수를 비롯한 군 공직자, 장성군의회 의원, 자문위원, 장성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회 관계자 등 다수가 참석한 가운데 '장성 황룡전적 종합정비계획 수립용역' 최종 보고회를 갖고 장성황룡전적의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지역 발전과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동학농민운동은 1894년(고종 31) 전라도 고부군(현 정읍시)에서 발생한 민란이다.


전라도 고창과 장성, 나주는 조선시대 이전부터 풍부한 곡창지대로 수탈대상이었으며 지역 농민들과 부민(富民)들은 탐관오리의 혹독한 가렴주구에 시달렸다고 한다.




동학농민운동의 단초가 된 사건은 1894년 1월 10일 고부군수 조병갑(趙秉甲)의 지나친 가렴주구(苛斂誅求, 세금을 가혹하게 거두어들이고, 무리하게 재물을 빼앗음)에 항거하는 광범한 농민층의 분노가 폭발해 발생한 민란에서 비롯된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 따르면 1892년 말 고부군수로 부임해 온 조병갑은 탐관오리의 전형적인 인물이었다. 그는 기회있는 대로 갖가지 명목으로 수탈을 자행했는데, 농민에게 면세를 약속하고 황무지 개간을 허가해 주고도 추수기에 강제로 수세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부민(富民)을 체포해 불효·불목·음행·잡기 등의 죄명을 씌워 그들의 재물을 강제로 빼앗았다고 한다.


1893년 12월 농민들은 우선 군수에게 진정하기로 하고, 동학접주 전봉준을 장두)로 삼아 억울한 사정을 민소(民訴)의 형식으로 군수 조병갑에게 두 차례에 걸쳐 호소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동학접주인 동지 20명과 함께 봉기를 맹약한 전봉준은 이듬해인 1894년 2월 10일 김도삼·정익서·최경선 등과 함께 고부군아를 습격하고 불법으로 수탈되었던 수세미를 되찾아 농민에게 돌려주는 동시에 해산했다.


고부군수 조병갑은 난을 피해 전라감사에게 보고하고, 전라감사는 정부에 알려 조병갑을 체포해 파면하고, 새 고부군수를 임명해 사태를 수습하게 했다. 하지만 새 고부군수는 사후처리를 동학교도 탄압의 기회로 삼아 온갖 악행을 자행해 전봉준 등에게 격분을 사게 된다.


1894년 4월 전봉준·손화중·김개남의 이름으로 된 '무장동학포고문'으로도 불리는 이 창의문에서 과감히 봉기할 것을 요청하자 근방의 10여 읍에서 호응하고, 10여일 만에 1만여 명이 동원되었다. 동학교도와 농민과의 결합은 이때부터 비롯됐으며, 전봉준은 동학농민군의 지도자로 봉기의 앞장에 서게 됐다.


정부는 5월 6일 홍계훈(洪啓薰)을 양호초토사로 임명해 동학농민군을 추격해 장성 남쪽인 황룡촌에서 접전을 벌였으나 동학농민군에게 패주하고 말았다.


전봉준은 1894년 12월 30일 밤 습격을 받아 관군에게 잡혀 서울로 압송됐다. 이듬해 4월 23일 전봉준 은 교수형을 받고 최후를 마쳤다.


고부민란으로부터 1년여에 걸쳐 전개되었던 동학농민운동은 결국 실패했으나 동학농민군은 후에 항일의병항쟁의 중심세력이 되었으며, 3·1독립운동으로 계승됐다고 한다.


김한종 장성군수는 “황룡전적의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지역 발전과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문남석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