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몇 주 이내 구리 관세 부과 가능성”…구리 가격 전망은?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3.26 11:58
WHITE HOUSE TRUMP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UPI/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산 구리에 대한 관세를 조만간 부과할 가능성이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2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수입산 구리에 대한 미국 관세는 몇 주 이내 시행될 수 있다"며 예정된 일정보다 빠르게 발표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수입산 구리가 미국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것을 상무부에 지시했다.



상무부에 따르면 해당 조사는 지난 10일 시작됐으며, 상무부 장관은 조사 개시 이후 270일(12월 말) 내로 구리 수입이 안보를 저해할 위험이 있는지, 있다면 위험을 어떻게 완화할지를 권고하는 보고서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출해야 한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90일 이내로 상무 장관의 결론에 동의하는지, 장관이 권고한 수입 규제 등의 조치를 이행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첫 임기 때 지시한 철강에 대한 232조 조사의 경우 조사를 개시한 2017년 4월부터 실제 관세를 부과한 2018년 3월까지 거의 1년이 걸렸다.




그러나 구리의 경우 트럼프 행정부가 신속하게 조사를 진행하고 있어 훨씬 빠르게 결론이 나올 수 있다고 익명을 요구한 관계자는 전했다. 일부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수차례 강조해온 만큼 구리에 대한 조사는 형식적인 것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구리 조사와 관련해 지난달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트럼프 시간(Trump time)' 대로 움직일 것을 보게 될 것"이라며 “이는 가능한 한 빨리 조사 결과를 대통령 책상 위에 올리는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블룸버그는 “구리 관세를 빠르게 시행하는 것은 집권 1기의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와는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고 전했다.


이에 구리에 대한 실제 관세 부과 시점과 관세율이 앞으로 주목을 받을 전망이다.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구리에 대해 관세율을 25% 적용할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다.


골드만삭스와 시티그룹 등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올 연말에 구리에 25% 관세가 부과되고 그전까지 구리가 미국으로 대량 유입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같은 관측에 글로벌 구리 업체들은 미국에 구리를 비축하기 시작했고 이는 글로벌 공급난을 부추겨 구리값이 치솟기 시작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날 미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구리 가격이 파운드당 5.3740달러로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또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구리 가격은 톤당 1만100달러를 기록해 COMEX와 LME 가격 간 차이는 톤당 1600달러 넘게 벌어졌다.


글로벌 원자재 유통 기업 트라피구라는 구리 가격이 톤당 1만2000달러까지 뛸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구리에 대한 관세율이 25%를 밑돌 경우 구리 가격이 빠르게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중국 국유기업인 중량집단유한공사(COFCO)의 수 완추 애널리스트는 “구리 가격은 특히 뉴욕에서 다가오는 25% 관세를 반영하기 위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며 “만약 관세율이 25%에 미치지 못한다면 구리 가격이 빠르게 하락할 리스크가 있다"고 말했다.


관세가 발표되면 구리 가격이 떨어질 가능성도 나온다다. 시티그룹은 지난 13일 보고서를 통해 LME 구리 가격이 톤당 1만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관세 시행으로 미국의 구리 수입 수요가 둔화하면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모건스탠리 역시 지난 10일 보고서를 내고 “관세가 아직 부과되지 않았기 때문에 구리를 미국으로 보내려는 강한 동기부여가 있다"며 “관세 부과로 향후 수요에 대한 우려가 일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