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교수 2명, ‘노벨상 펀드’ HFSP상 수상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4.01 17:13

전기전자공학 윤영규·바이오뇌공학 신우정 교수 2명 선정
학제간 융합국제연구 지원…수상자 중 노벨상 31명 배출

카이스트

▲카이스트 전기및전자공학부 윤영규 교수(왼쪽), 바이오및 뇌공학과 신우정 교수.

카이스트(KAIST, 총장 이광형)의 전기및전자공학부 윤영규 교수와 바이오및 뇌공학과 신우정 교수가 노벨상 펀드로 불리는 '휴먼 프론티어 사이언스 프로그램(HFSP)'의 올해 수상자로 나란히 선정됐다.




카이스트는 1일 유·신 두 교수가 올해 새로 도입된 HFSP상 액셀러레이터 트랙의 첫 수상 영예를 안았다고 밝혔다. 두 교수는 향후 2년간 약 10만 달러의 지원금을 받는다.


휴먼 프론티어 사이언스 프로그램은 생명과학 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국제 연구지원 프로그램으로, 독창적인 학제간 융합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할 역량이 있는 연구자를 선정해 새로운 접근법으로 생명 기전을 밝히는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1997년 G7과 유럽연합의 주도로 설립됐고, 우리나라는 2004년부터 이사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특히, 설립 이후 선정자들 가운데 노벨상 수상자 31명을 배출해 상의 권위를 높여주고 있다. 우리나라는 올해 수상자를 포함해 총 83명이 지원받았다.


유·신 두 교수의 수상으로 카이스트의 학제 간 융합연구와 혁신적 연구 역량을 전 세계로부터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고 카이스트는 말했다.




윤영규 교수는 광학적 뇌 기능 영상 촬영 및 분석을 주제로 다수의 국제적 협력연구와 선도연구를 수행한 점을 인정받았다.


HFSP상 수상에 힘입어 윤 교수는 '조류 신경계 확산광단층촬영 데이터 분석' 연구를 주제로 미국·독일 대학 연구팀과 협력해 환경적, 진화적 요인이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계획이다.


신우정 교수 역시 영국·미국·이스라엘 대학 및 연구소와 공동으로 '신경생리학에서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면역계, 감각신경계의 상호작용 연구'를 주제로 피부 마이크로바이옴-면역-신경계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대해 피부 환경을 모사하는 '피부모사칩'을 활용해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김철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