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기중앙회, 제조·유통 300개사 설문 결과
긍정 24.7%로 부정 15.3% 앞질러
50% “활용하고 있거나 활용할 계획”
판매채널 다변화, 비용절감 장점 꼽아

국내 중소기업·소상공인의 중국 이커머스 활용여부
▲자료=중소기업중앙회 (base:300, 단위:%)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 등 중국 이머커스의 국내 시장 공습이 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중소상공인 2곳 중 1곳은 중국 이커머스를 활용하고 있거나 향후 활용할 예정이라는 조사가 나왔다.
중국 이커머스의 영향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평가보다는 긍정적 평가가 많은 상황이다.
2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달 17일부터 21일까지 중소기업(제조업·유통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국 이커머스 국내 진출 확대에 대한 중소기업·소상공인 의견 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29.7%는 중국 이커머스를 활용 중이라고 답했다. '활용 경험은 없지만 향후 활용할 의사가 있다'는 기업도 21.0%로 나타났다.
중국 이커머스가 끼친 영향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가 부정적인 평가보다 많았다. '긍정적'이라는 응답은 24.7%로, 부정적이라는 응답은 15.3%로 나타났다. 향후 전망에 대한 질문에도 '긍정적'으로 평가한 기업이 28.3%를 기록하며, '부정적'이라고 전망한 기업(26.0%)보다 많았다.
응답 기업들은 중국 이커머스의 장점으로 '판매 채널 다변화'(47.3%)를 가장 많이 꼽았다. 또한, 기존 유통망 대비 입점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다는 응답은 16.2%, 원자재 조달이나 물류 배송비 등에서 비용을 절감했다는 응답도 14.9%로 조사됐다.
부정적 영향을 받은 이유로는 자사 제품 가격 경쟁력 저하로 소비자 이탈(45.7%)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국내 기업의 브랜드 가치 하락(가품 등)'(19.6%), '무관세·무인증 등 역차별 피해'(17.4%), '마케팅 비용 증가'(8.7%) 등이 문제로 지적됐다.
우리 기업들은 중국 이커머스의 국내 진출에 대한 최우선 지원 정책으로 △중국 이커머스 입점 업체 대상 인증·검사 강화(34.7%) △국내 이커머스 입점 기업 지원(수수료 인하 등)(32.3%) △해외직구 제품의 통관 및 품질 검사 강화(26.3%) △특허·상표권 등 지식재산권 침해 제재 강화(23.0%) △물류 경쟁력 강화(물류비 지원 등)'(21.7%) 등을 꼽았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이번 조사 결과로 중국 이커머스가 중소기업에 새로운 위기이면서 기회가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추 본부장은 “중국 이커머스의 국내 영향력이 점차 확대될 가능성을 고려할 때, 중소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해 품질 인증과 검사, 지적재산권 보호를 선제적으로 강화하고, 중소기업이 새로운 유통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이커머스 입점 지원과 물류비 지원 등 정책적 지원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