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중진공 ‘중소기업 K-뷰티론’ 정책자금 신설
총 200억…우수브랜드 발굴 혁신제품에 2억 지원
최대시장 美 관세공세 대응 해외경쟁력 강화 기대

▲서울 중구 명동의 한 화장품가게 모습.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중소기업 수출 일등공신인 화장품 산업을 키우기 위해 유망 뷰티 신제품 생산에 소요되는 자금을 지원하는 정책자금을 처음 도입한다.
가뜩이나 미국 트럼프 정부의 무차별적 관세 정책으로 국내 뷰티업계도 적잖은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우려가 고조되는 가운데 나온 정책이란 점에서 K-뷰티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업계는 기대한다.
9일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오는 17일부터 우수 화장품 브랜드사의 신제품 생산에 소요되는 자금을 지원하는 '중소기업 K-뷰티론'을 접수받는다고 밝혔다.
'K-뷰티론'은 생산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이 시장에 원활히 진입할 수 있도록 생산대금을 우선 지원하는 정책자금이다. 발주서를 근거로 생산대금을 우선 지원해 신제품 생산에 소요되는 자금을 돕고자 마련됐다. 전체 예산 규모는 총 200억원이다.
'K-뷰티론'의 지원대상은 화장품협회의 회원사인 수주기업이 추천한 발주기업으로, 지원한도는 발주서 당 1억원 이내(기업 당 연 2회)로 신청이 가능하다. 대출 기간은 최대 5년으로, 금리는 매 분기 변동되는 정책자금 기준금리를 따른다. 2분기 기준 정책자금 기준금리는 3.15%이다.
중진공 측은 “융자 지원금은 신제품 생산 및 판매와 관련된 자금으로 활용될 예정"이라며 “화장품 산업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K-뷰티의 지속성장을 뒷받침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화장품은 우리나라 중소기업 수출 1위 품목에 해당한다. 수출액 기준 비중도 가장 높은 데다 전년대비 수출 증가율 역시 가장 높다. 지난해 중소기업 화장품 수출은 68억달러(약 10조원)로, 전년대비 27.7%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우리나라 화장품업계가 최근 가장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국가는 다름 아닌 미국이다. 대미 수출액은 13억4000만달러(약 2조원)로 전년대비 무려 46.5% 증가하며 전체 수출국 중 가장 높은 비중과 증가율을 기록했다.
하지만 최근 미국 발(發) 보호무역주의의 확산에 따라, 화장품업계에도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해당 품목이 중소기업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보니, 정부 역시 해당 업계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강석진 중진공 이사장은 “화장품 산업은 K-콘텐츠와 연계되어 글로벌 시장 수요가 커지고 있는 분야"라며 “상호관세 부과 등 급격한 통상환경 변화 속에서 우리 화장품 산업이 'K-뷰티론'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다방면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