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찰청·부산선관위 대선 선거사범 수사전담팀 가동…현수막 설치 제한 등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4.09 15:58

부산시, 구·군과 일회용품 없는 친환경 축제 지원 사업 시행




부산경찰청은 부산 지역 모든 경찰관서별로 '선거사범 수사상황실'을 설치하고 수사전담팀을 가동한다고 9일 밝혔다./부산경찰청.

▲부산경찰청은 부산 지역 모든 경찰관서별로 '선거사범 수사상황실'을 설치하고 수사전담팀을 가동한다고 9일 밝혔다./부산경찰청

부산=에너지경제신문 조탁만 기자 부산경찰청과 부산시선관위가 오는 6월 3일 실시되는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발 빠르게 대비하고 있다 .


부산경찰청은 부산 지역 모든 경찰관서별로 '선거사범 수사상황실'을 설치하고 수사전담팀을 가동한다고 9일 밝혔다.



경찰은 선거의 공정성을 중대하게 침해하는 △금품수수 △허위사실 유포 △공무원 선거 관여 △선거폭력 △불법 단체동원 총 5개 행위에 대해 첩보 수집을 강화한다 .


또 선거범죄 수사 과정에서 적법절차 준수, 정치적 중립을 지키고 지역 선거관리위원회나 검찰청 등 관계기관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강화한다




김수환 부산경찰청장은 “촉박한 선거 일정 등에 따른 사회적 혼란이나 갈등을 예방하기 위해 '선거사범 수사상황실'을 중심으로 24시간 신속 즉응태세를 유지하겠다"며 “공정한 선거가 치러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시선관위도 공직선거법에서 시기별로 제한·금지하는 행위를 안내했다.


누구든지 4월 4일부터 선거일까지 정당의 명칭이나 후보자의 성명·사진, 또는 이를 유추할 만한 내용을 담은 현수막 등 시설물을 게시할 수 없다.


또 정당 또는 후보자를 지지·추천 반대하는 내용을 담은 행위도 제한한다.


지방자치단체장·교육감과 소속 공무원, 그리고 국회의원들도 공청회 등 각종 행사를 개최하고 후원을 하거나 의정 활동을 시민들에게 보고하면 안된다.


출판기념회 개최나 여론조사 진행 등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행위로 보고 제한한다. 딥페이크영상 등 제작·편집·유포·상영도 마찬가지다.


5월 4일부터 선거일까지 정당은 당원집회를 개최하면 안된다 .


부산시선관위는 “공직선거법에서 시기별로 제한·금지하는 행위를 다르게 규정하고 있다"며 정당·후보자나 유권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이밖에 선거 관련 문의는 국번없이 1390번 또는 부산시선거관리위원회로 전화하거나 선거법규포털사이트에서 확인하면 된다.



◇ 부산시, 구·군과 일회용품 없는 친환경 축제 지원 사업 시행


부산시

▲부산시청 청사. 제공=부산시

부산=에너지경제신문 조탁만 기자 부산시는 이번 달부터 '일회용품 없는 친환경 축제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이 사업은 구·군이 지역축제장에서 다회용기 등 재활용할 수 있는 물품을 사용해 탄소배출을 줄이고 쓰레기 없는 쾌적한 축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추진된다.


시는 지속 가능한 친환경(ESG) 축제를 구현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오는 14일까지 사업에 참여할 구·군을 모집한다.


친환경 축제 실행 가능성과 지원 필요성 등을 평가해 10개 내외의 구·군을 선정해 지역축제장 다회용기 도입과 활성화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한다.


지원 내용은 △축제장 내 다회용기 도입에 필요한 비용 △텀블러 등 개인 다회용기를 이용하는 시민에 대한 인센티브 비용의 일부다.


김현재 시 관광마이스국장은 “친환경 축제가 지역 축제의 품격을 높이고 차별성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되며, 우리시는 구·군과 함께 지속 가능한 친환경 축제를 만들어 탄소중립 시대에 글로벌 도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다음달 5일부터 6일까지 이틀간 화명생태공원에서 개최되는 '2025년 부산 밀 페스티벌'부터 다회용기를 도입해 선도적으로 친환경 축제장을 조성한다.


시 관계자는 “밀로 만든 음식을 다양하고 깊게 경험할 수 있는 미식 축제로, 일회용품 사용이 많았던 축제인 만큼 다회용기 도입의 효과가 클 것"이라고 기대했다.



조탁만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